뷰페이지

[단독]1월 극단 선택 32% 급증…故이선균 ‘베르테르’ 효과?

[단독]1월 극단 선택 32% 급증…故이선균 ‘베르테르’ 효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04-01 20:55
업데이트 2024-04-01 2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보다 319명 늘어…男 42%↑
코로나 이후 상대적 박탈감 영향도

이미지 확대
서울 마포대교 위에 SOS 생명의 전화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 마포대교 위에 SOS 생명의 전화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배우 이선균씨가 세상을 떠난 이후 올 1월 자살 사망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에 따르면 올해 1월 잠정 집계된 자살 사망자는 1306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987명)보다 32.3%(319명) 급증했다. 2021년과 2022년, 2023년 1월 각각 998명, 1004명, 987명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늘어난 수치다.

전문가들은 이씨의 죽음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와 코로나19 팬데믹 같은 위기 이후 회복기에 들어설 때 되레 자살률이 급증하는 현상, 경제적 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베르테르 효과는 유명인 자살 이후 모방 자살이 잇따르는 사회현상을 말한다. 자살률이 전년보다 9.5%나 뛰었던 2018년을 보면 1월(22.2%)과 3월(35.9%), 7월(16.2%)에 자살 사건이 집중됐다. 그룹 샤이니 멤버 김종현(2017년 12월), 배우 조민기(2018년 3월), 노회찬 의원(2018년 7월) 사망 시기와 겹친다. 또 코로나19에서 벗어났는데도 경기는 바닥을 치고 남들은 잘 사는데 나만 힘들다는 상대적 박탈감이 클 때도 자살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신은정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교육전략본부장은 “1월 자살 사망자가 많았다는 것은 분명한 위험 징후”라며 “포스트 코로나, 경제적 위기 등 사회적 영향을 심층 분석해야 하겠지만 이선균씨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보고 연령대와 수단 등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단은 특히 남성 사망자가 많았던 데 주목했다. 여성 사망자는 지난해 1월 298명에서 올해 1월 325명으로 9.1% 늘어났지만 남성 사망자는 689명에서 981명으로 42.4% 급증했다. 2008년 10월 배우 최진실씨 사망 직후엔 비슷한 연령대 여성의 극단적 선택이 크게 늘었고 자살 수단까지 비슷했다. 자살률은 통상 봄(3~5월)에 더 높아지기 때문에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 본부장은 “정부의 마음건강 투자 사업 등을 세밀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