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동의 외국인 MVP’ 워니 아성 깨지나…‘다재다능’ DB 로슨 vs ‘득점’ kt 배스

‘부동의 외국인 MVP’ 워니 아성 깨지나…‘다재다능’ DB 로슨 vs ‘득점’ kt 배스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4-03-26 13:22
업데이트 2024-03-26 1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원주 DB 디드릭 로슨이 지난 9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3~24 프로농구 정규시즌 부산 KCC와의 경기에서 팀 동료 이선 알바노와 격려를 주고받고 있다. KBL 제공
원주 DB 디드릭 로슨이 지난 9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3~24 프로농구 정규시즌 부산 KCC와의 경기에서 팀 동료 이선 알바노와 격려를 주고받고 있다. KBL 제공
최근 2년 동안 프로농구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군림했던 자밀 워니(서울 SK)가 한 걸음씩 왕좌에서 내려오고 있다. 이적 첫 해 원주 DB를 정규시즌 우승으로 이끈 ‘다재다능’ 디드릭 로슨, 폭발적인 공격력으로 경기를 지배하는 ‘득점 1위’ 패리스 배스(수원 kt)가 가장 높은 곳을 차지하기 위해 최후의 경쟁을 펼친다.

2023~24 KBL 정규시즌 국내 최우수선수(MVP)만큼 외국인 MVP 경쟁도 치열하다. 6라운드 막판으로 치닫는 26일 현재, 로슨과 배스가 가장 유력한 외국 선수 MVP 후보로 꼽힌다. 그 뒤를 워니, 아셈 마레이(창원 LG) 등이 쫓는 형국이다.

배스는 25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SK와의 원정 경기에서 41점 13리바운드 맹활약하며 워니(24점 8리바운드)에 판정승을 거뒀다. 1쿼터부터 공격을 주도한 배스는 상대 골밑을 휘저으며 레이업을 올렸다. SK는 리온 윌리엄스와 워니를 번갈아 투입했으나 절묘한 돌파와 슛으로 점수를 쌓는 배스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이날 배스는 3점슛 시도 11개 중 7개(성공률 63.6%), 2점슛 12개 중 9개(75%)를 넣는 놀라운 집중력을 선보였고 kt도 99-80으로 승리하면서 3위를 확정했다. 리그 전체 득점 선두(25.96점) 배스는 3-4위 맞대결에서 강한 인상을 남기면서 MVP 경합의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이미지 확대
수원 kt 패리스 배스가 25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23~24 프로농구 정규시즌 서울 SK와의 경기에서 자밀 워니를 따돌리고 레이업하고 있다. KBL 제공
수원 kt 패리스 배스가 25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23~24 프로농구 정규시즌 서울 SK와의 경기에서 자밀 워니를 따돌리고 레이업하고 있다. KBL 제공
그러나 로슨도 만만치 않다. DB의 중심 로슨은 득점 6위(21.85점), 도움 8위(4.50개), 리바운드 6위(9.73개), 블록슛 5위(0.98개) 등 대부분 지표에서 상위권을 올랐다. 지난 시즌 7위로 6강 플레이오프 무대를 밟지 못했던 DB는 김주성 감독대행을 정식 사령탑으로 승격시키고 고양 캐롯(소노의 전신)에서 뛰었던 로슨을 영입한 뒤 단숨에 정규 우승을 차지했다.

무엇보다 로슨은 DB가 kt를 4점 차로 꺾고 최종 1위를 확정한 14일 원주종합체육관 정규시즌 경기에서 배스를 상대로 물오른 기량을 과시했다. 로슨이 혼자 47점을 넣었는데 당시 DB에서 로슨을 제외하고 두 자릿수 득점한 선수는 박인웅(12점)뿐이었다. 배스도 29점 18리바운드로 분전했으나 로슨을 막지 못해 DB의 우승 세레머니를 옆에서 지켜봐야 했다.

득점 2위(24.00점) 워니도 SK 안영준, 김선형 등 공격 자원들이 줄부상당한 상황에서 고군분투했지만 개인, 팀 성적에서 배스와 로슨에게 밀린다. 리바운드 1위(14.74개) 마레이도 골밑을 든든히 지켜 LG를 2위까지 끌어 올렸다. 다만 무릎 부상으로 시즌 중반 10경기 이상 결장한 부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MVP 트로피의 주인공은 다음 달 1일 KBL 시상식에서 공개된다.
서진솔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