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범수와 파경 이윤진 “기괴한 이중생활…시모 폭언도”

이범수와 파경 이윤진 “기괴한 이중생활…시모 폭언도”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3-23 15:59
업데이트 2024-03-25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배우 이범수(오른쪽)와 통역가 이윤진. 서울신문DB
배우 이범수(오른쪽)와 통역가 이윤진. 서울신문DB
배우 이범수와 이혼 소송 중인 것으로 알려진 통역사 이윤진이 이범수를 향한 공개 저격글을 남겼다.

이윤진은 23일 소셜미디어(SNS)에 “합의 별거 회피, 협의 이혼 무시, 이혼 조정 ‘불성립’. 거의 10개월은 되어 간다. 피가 마르고 진이 빠지는데, 이제 이혼 재판으로 넘어가면 2년은 족히 걸린다고… ○○(딸)이는 중학교 진학을 해외로 선택했다는 이유로 작년 말부터 서울집 출입금지를 당했다”라며 “감히 세대주에게 이혼 조정을 신청한 나는 세대주의 승인과 감시 없이는 집에 들어가 속옷가지들조차 찾아올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적었다.

그는 “누굴 탓하겠는가. 모두 다 말리는 결혼을 우겨서 내가 했는데, 그렇기 때문에, 보란 듯이 열심히 잘 사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라며 지난 14년의 결혼생활이 SNS 속 광고사진들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평생 함께할 것을 약속한 나의 반쪽(이범수)이 세무조사, 형사, 민사 법정 싸움에서 대리인으로 언제나 밤새 법을 공부하며 그를 지켜줬다. 세대주님께 방값 밥값은 충분히 했다고 자부한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부부가 어려울 때 돕는 건 당연한 일이기 때문에, 그가 힘들어할 때 결혼반지와 예물을 처분했고, 가장의 자존심으로 말 못 할 사정이 있어 보일 땐, 내가 더 열심히 뛰어 일했다”라며 재정 위기가 찾아왔을 때 칠순이 곧인 친정 부모의 통장을 털어 위기를 넘겼던 일도 밝혔다.
이미지 확대
이윤진 인스타그램
이윤진 인스타그램
그러나 이런 헌신에도 친정부모님은 시어머니로부터 “딸년 잘 키워 보내라”라는 모욕적인 말을 들었다고 한다. 그는 “나만 들어도 되는 이년 저년 소리를 우리 부모님도 듣게 되셨다”라며 “친정 부모님께 상처를 드렸다. 죄송하고 면목 없다”라고 전했다.

이범수가 어떤 일을 했는지도 저격했다. 그는 “기괴한 모습의 이중생활, 은밀한 취미생활, 자물쇠까지 채우면서 그토록 소중히 보관하고 있던 것들, 양말 속 숨겨 사용하던 휴대폰들까지 이건 진심을 다한 가족에 대한 기만이고 배신이다. 더 알고 싶지도 않다”라고 적었다.

이윤진은 “그 누구도 이 지옥 같은 이혼이라는 과정을 즐기는 사람은 없다. 더군다나 15년의 결혼생활과 내 가족사를 휘발성 가십으로 날려버리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알려진 사람의 부인으로,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내 아이들의 엄마로 내 한계치를 시험하며 하루하루를 살아왔다”고 했다.

그는 SNS에 남긴 글을 “바위덩어리처럼 꿈적도 하지 않는 그에게 외치는 함성”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집에서 해결할 수 있는 일 크게 만들었다. 부끄럽다. 평생을 이어 나갈 수 있는 소중한 인연인데 마음의 문을 열어주길 바란다”라며 “돈줄을 끊고, 집안 문을 굳건히 닫는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주변에 그와 소통할 수 있는 단 한 명의 친구라도 있다면 부디 나의 현실적인 진심을 전해주길 바란다”라고 글을 마무리했다.

지난 16일 이범수 소속사 와이원엔터테인먼트는 이범수가 아내 이윤진과 현재 이혼 조정을 신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윤진도 지난해 12월 ‘내 첫 번째 챕터가 끝났다’라는 글에 이범수 계정을 태그했고, 이후 두 사람이 서로 인스타그램 팔로우를 취소한 것이 알려져 파경설이 제기된 바 있다. 14살 차이로 2010년 5월 결혼한 두 사람은 딸 1명, 아들 1명이 있다. 육아 예능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동반 출연하기도 했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