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부 “제조업 중심 경기 회복 흐름…물가 둔화세는 주춤”

정부 “제조업 중심 경기 회복 흐름…물가 둔화세는 주춤”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4-03-15 11:57
업데이트 2024-03-15 1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획재정부, 3월 경제동향 발표
민간 소비 더디고 건설투자 부진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

이미지 확대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이 분주한 모습. 2022.12.21. 뉴시스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이 분주한 모습. 2022.12.21. 뉴시스
최근 한국 경제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민간 소비는 더디고 건설투자는 부진하는 등 경제 부문별로 온도 차가 있다고 정부가 진단했다. 물가 둔화 흐름은 주춤하다는 분석도 더했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3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둔화 흐름이 다소 주춤한 가운데, 제조업 생산·수출 중심 경기 회복 흐름과 고용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진단은 지난달과 대체로 비슷하나 물가 둔화 흐름이 주춤하고 고용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추가됐다.

각종 경제 지표에서 회복 속도의 뚜렷한 온도 차가 나타난다. 수출 회복세는 반도체가 중심이 되어 이끌고 있다. 지난달 수출은 524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8% 늘었다.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에 반도체(67%)와 선박(28%), 디스플레이(20%) 등 6개 품목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생산 지표도 긍정적 신호를 보인다. 제조업 생산은 전월에 비해선 1.4%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13.7% 늘었다. 반도체(44.1%), 자동차(13.2%), 금속가공(16.2%) 등의 생산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사과. 2024.3.13.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사과. 2024.3.13. 연합뉴스
그러나 민간 소비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1월 전년 동월보다 3.4% 감소했다. 2월 소매판매의 경우 백화점 카드 승인액 및 할인점 매출액 증가 등은 긍정적 요인이지만,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 감소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투자 부문에서 1월 설비투자(GDP 잠정치)는 전월에 비해 5.6% 줄었다. 추후 기계류 수입 감소와 국내 기계 수주 감소 등이 설비투자의 부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4분기 건설투자는 전기 대비 4.5% 감소했다. 건설 수주 및 건축 허가 면적이 줄어 향후 건설투자는 부진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는 건설투자에 대해 1월에는 ‘부진 우려’, 2월에는 ‘부진 가시화’라고 표현했고, 이달에는 ‘부진’이라고 쓰며 톤을 조금씩 높였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건설투자는 1년 전에 수주가 안 좋았던 게 영향을 미쳐 좋지 않은 흐름으로 갈 듯하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물가는 전월보다 3.1% 상승했다. 1월 물가가 2.8% 오른 데 비해 상승 폭이 커졌다. 석유류 가격이 오르고 과일·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다.

기재부는 “조속한 물가 안정 기조 안착에 총력 대응하겠다”면서 “민생·내수 취약부문으로의 온기 확산 등을 통한 균형 잡힌 회복에 역점을 두고 철저한 잠재 위험 관리 등을 병행하겠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기획재정부 김귀범 경제분석과장이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룸에서 올해 3월 최근 경제 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24.3.15. 연합뉴스
기획재정부 김귀범 경제분석과장이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룸에서 올해 3월 최근 경제 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24.3.15. 연합뉴스
옥성구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