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동률의 아포리즘] ‘서울의 봄’이 진짜인 줄 안다

[김동률의 아포리즘] ‘서울의 봄’이 진짜인 줄 안다

입력 2024-02-26 03:18
업데이트 2024-02-26 0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악도 취향 따라 정치성향 갈려
‘록은 민주당, 컨트리는 공화당’
정치영화일수록 깊은 성찰 요구
‘픽션’ 뒤 제작 의도 볼 줄 알아야

록이나 재즈를 좋아하는 사람은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민주당에 가깝다. 그러나 블루그래스나 컨트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당파성을 많이 띠고 공화당에 가깝다. 트럼프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미국 얘기다. 좋아하는 음악하고 지지하는 정당하고 무슨 관계가 있다고 이 같은 엉뚱한 소리가 나올까.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겠다. 하지만 다수의 관련 연구들이 증명하고 있다. 록을 좋아하는 사람은 대개 대도시에 살며 개방적이고 교육 수준이 높다. 블루그래스나 컨트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대부분 대도시의 낙후된 지역에 살거나 남부의 시골에 거주하고 있다. 이처럼 사람들의 문화적인 취향을 통해 정치적인 성향을 알 수도 있다. 또 이 같은 취향은 거꾸로 정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실제로 정치와는 무관한 음악, 영화, 다큐멘터리 등이 부수적인 학습효과를 통해 인간의 정치사회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간접적인 설득이 더 큰 정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나 ‘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본 미국인은 더 애국적인 미국인이 된다. 미국 밖 사람들도 은연중 미국에 대해 우호적인 생각을 가지게 된다. 나치의 만행을 그린 로만 폴란스키의 ‘피아니스트’를 본 사람은 나치를 증오한다. 맷 데이먼이 등장하는 ‘본 시리즈’를 본 사람은 중앙정보국(CIA) 등 미국의 정보기관, 나아가 미국 정부에 대해 분노하게 된다는 뜻이다.

왜 그럴까? 오늘날에는 유튜브, 영화 등등이 정치 지식의 주된 정보원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부모나 학교 선생님들이 담당했던 정치사회화 과정을 지금은 영화, 음악, 유튜브 등이 맡고 있다. 예전에는 박정희가 어떻고, 김대중이 어떻고, 이승만이가 어떻고를 부모나 학교 선생님들로부터 들었다.

하지만 지금은 어릴 때는 텔레비전, 커 가면서는 유튜브, 신문, 영화, 음악 등을 통해 습득한다. 이들 미디어 콘텐츠를 일컬어 제2의 부모라고 한다.

정치사회화의 중요한 매체는 활자매체와 영상매체로 나뉜다. 나이가 들수록,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활자매체의 역할이 크다. 유튜브, TV, 영화는 나이가 어리거나 상대적으로 지식 수준이 낮은 사람에게 큰 역할을 한다.

이 가운데 영상매체의 정치적 영향력은 크고도 무섭다. 보통 사람이 정치 현안을 평가하는 방향은 불행하게도 이들 매체가 평가하는 방향과 무의식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게 문제다. 영상물이 좋게 말하면 좋은 것으로 보이고 나쁘게 말하면 나쁜 줄 안다. 나아가 선거운동 등 실제적인 정치행위에 대해서도 상당한 힘을 발휘한다. 영화나 유튜브를 통해 얻은 정보를 두고 친구들과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경우도 있다. 많이 접하는 사람일수록 더 많이 정치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나아가 실제로 선거운동에까지 참가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이른바 강성 이재명 지지층인 ‘개딸’이 그 예가 된다.

영화나 유튜브 등 영상물의 위력은 특히 젊은 세대에게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이 같은 영상물의 정치적 색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의 봄’과 ‘건국전쟁’이 그 예가 된다. ‘건국전쟁’의 경우 다큐멘터리이기 때문에 누구나 그 의도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극영화인 ‘서울의 봄’의 경우 보는 것만으로는 창작 의도나 당파성을 알아채기가 어렵다. 곳곳에 사실과 다르거나 왜곡된 주장이 숨어 있지만 제작자가 픽션이라고 주장하면 할 말이 없다. 특히 표현의 자유를 내걸면 딱히 답이 없다. 결국 이런 유는 제작자의 물밑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제작자의 정치적 경향성 등등 여러 배경을 알아야 비로소 감춰진 목적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정치 지향 영화에 대해서는 보다 깊은 사유와 성찰이 필요하다. ‘서울의 봄’이 그 예가 된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이미지 확대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2024-02-26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