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개운하고 화끈한 ‘오컬트’…김고은 굿판, 스크린 압도[영화 리뷰]

개운하고 화끈한 ‘오컬트’…김고은 굿판, 스크린 압도[영화 리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2-21 18:32
업데이트 2024-02-22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묘’

최민식·유해진 등 연기 ‘앙상블’
일제강점기 악행도 다뤄 주목
중후반부 현실감 많이 떨어져

이미지 확대
장재현 감독의 새 영화 ‘파묘’는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무당, 장의사가 겪는 기이한 사건을 그린 오컬트 장르물이다.  쇼박스 제공
장재현 감독의 새 영화 ‘파묘’는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무당, 장의사가 겪는 기이한 사건을 그린 오컬트 장르물이다.
쇼박스 제공
무당 화림(김고은)과 봉길(이도현)은 기이한 병이 대물림되는 한 부유한 집안으로부터 병의 이유를 밝혀 달라는 거액의 의뢰를 받는다. 조상의 묫자리가 화근임을 알아챈 화림은 이장을 권하고 이에 최고의 풍수사 상덕(최민식)과 장의사 영근(유해진)이 합류하게 된다. 상덕이 악지에 자리한 기이한 묘임을 알아차리고 “못하겠다”고 거부하지만 화림의 설득으로 결국 묘를 파헤치게 된다.

22일 개봉하는 ‘파묘’는 ‘검은 사제들’(2015), ‘사바하’(2019) 등으로 오컬트 영화에 집중해 온 장재현 감독의 신작이다. 묘를 잘못 써서 화를 입는 묫바람과 과거 일제강점기 조상의 악행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무속을 내세워 호기심을 유발한다.

특히 최민식, 김고은, 유해진 등 최고의 연기력을 보여 주는 배우들이 각각 풍수사와 무당, 장의사 등으로 나서면서 관심이 쏠렸다. 데뷔 35년 만에 첫 오컬트 장르에 도전하는 최민식은 기괴한 사건의 원인을 찾는 풍수사로 극의 중심을 잡는다. 영험한 무당으로 나선 김고은은 보이지 않는 것을 꿰뚫어 보면서 카리스마를 내뿜는다.
이미지 확대
특히 무당으로 분한 배우 김고은이 굿을 벌이는 장면이 압권이다. 쇼박스 제공
특히 무당으로 분한 배우 김고은이 굿을 벌이는 장면이 압권이다.
쇼박스 제공
특히 4대의 카메라로 담아 낸 ‘대살굿’ 장면이 인상적이다. 김고은은 얼굴에 먹칠을 하고 통돼지 5마리를 칼부림하며 스크린을 압도한다. 여기에 유해진과 이도현 역시 위기가 닥쳤을 때 힘을 보탠다. 서로를 속이거나 하지 않고 각각의 역할에 충실하며 사건의 핵심으로 다가가는 팀플레이가 재미를 준다.

무속인이 등장하고 저주 등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나홍진 감독 영화 ‘곡성’(2016)을 떠올릴 법하다. 그러나 영화는 중반 이후 일제가 강점기 우리나라에서 행했던 ‘쇠말뚝 괴담’을 소재로 다른 분위기를 선보인다.

장 감독은 2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진행한 언론시사회에서 “묘 이장을 수십 번 정도 따라다니면서 ‘무덤을 파서 태우고 하는 일들에 무엇을 녹일 수 있을까’ 고민했는데, 과거의 잘못된 뭔가를 꺼내서 그걸 깨끗이 없애는 것에 관한 정서가 와닿았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의 땅, 우리의 과거를 돌이켜보면 상처와 트라우마가 많다. 그것을 파묘로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오컬트 장르가 주는 공포감을 최대한 살려 내면서도 확실한 오락 영화로서의 재미를 추구한 점도 차별점이다. 찝찝함을 덜어 낸 탓에 개운한 맛이 나지만 현실과 공상의 조화가 깨진다는 점에선 호불호가 갈릴 듯하다. ‘보이지 않는 것’을 다루는 전반부에 비해 ‘보이는 것’이 본격적으로 나오는 중후반부에선 현실감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장 감독은 이에 대해 “영화 만드는 내내 고민이 많았던 지점이다. 그러나 재미를 위해 불편하더라도 한 발짝 더 나가고 싶었다”고 밝혔다. 그는 “관객들이 오컬트 영화로서의 의미보다 재밌고 화끈한 영화로 받아들이고, 극장에서 아무런 선입견 없이 많이 즐겨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134분. 15세 관람가.
김기중 기자
2024-02-2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