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영익의 경제 통찰] 코스피, 12% 저평가돼 있다/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김영익의 경제 통찰] 코스피, 12% 저평가돼 있다/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입력 2024-02-18 23:38
업데이트 2024-02-18 2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가, 장기적으로 명목 GDP 반영
美 주가는 13% 고평가 상황
올해 말 코스피 적정 수준 3122
균형감 갖고 주식시장 접근을

올 들어 미국 주요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만큼 많이 오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 주가는 지난해 말보다 떨어졌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평가하면 우리 주가는 저평가, 미국 주가는 고평가 영역에 있다. 시간이 가면 주가는 결국 제자리에 접근해 간다.

주가는 장기적으로 명목 GDP를 반영하면서 그 이상으로 상승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2023년 명목 GDP는 연평균 5.7% 성장했고, 코스피(KOSPI)는 같은 기간 연평균 7.4% 상승했다. 주가지수 상승률이 매년 평균적으로 명목 GDP 성장률을 1.7% 포인트 웃돈 셈이다.

미국에서도 명목 GDP와 주가지수 사이에 유사한 관계가 나타났다. 2000~2023년 연평균 명목 GDP 성장률은 4.5%였고, 미국 주가지수를 대표하는 S&P500 상승률은 6.8%였다. 주가지수 상승률이 명목 GDP 성장률을 2.3% 포인트 웃돌았다. 지난 24년 동안을 보면 연평균 코스피 상승률이 S&P500 상승률보다 높았다. 물론 우리 GDP 성장률이 미국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기 추세를 활용해 적정 주가 수준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주가지수를 명목 GDP로 회귀분석해 적정 수준을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코스피는 12% 정도 저평가됐다. 그러나 같은 기준으로 추정하면 미국 주가는 13% 고평가됐다.

우리나라 명목 GDP의 잠재성장률은 3.7%(실질 GDP는 2.0%) 정도로 추정된다. 올해 우리 경제가 이 정도 성장한다면 연말 코스피의 적정 수준은 3122 정도다. 현재 코스피가 2600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코스피의 저평가 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셈이다.

최근 블룸버그 컨센서스에 따르면 올해 예상되는 미국 명목 GDP 성장률은 3.7%다. S&P500의 적정 수준을 추정해 보면 4459이다. 최근 S&P500이 5000을 넘었는데, 작년에 이어 주가 고평가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주가 고평가의 가장 큰 원인은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에 있다. AI가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정보기술(IT) 혁명처럼 미국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거라는 기대다. 미국의 노동생산성이 1980~1995년에는 연평균 1.5% 증가했다. 그러나 IT 혁명으로 전 산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1996~2000년에는 연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2.9%로 크게 높아졌다.

당시 생산성 향상으로 미국 경제의 총공급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했다. 쉽게 표현해 미국 기업들이 어떤 상품을 같은 가격에 더 많이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결과 미국 경제가 고성장과 저물가를 동시에 달성했다. 이런 경제를 일부 경제학자들이 ‘신경제’ 혹은 ‘골딜록스 경제’라고 불렀다. 이 시기에 나스닥지수가 4.5배 급등하는 등 주식 시장에 거품이 발생했다가 2000년에 들어서면서 붕괴됐다.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다시 낮아지고 있다. 실제로 2008~2023년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은 1.5%로 1996년 이전으로 회귀했다. 지난해 노동생산성 증가율 역시 1.4%에 그쳤다. 앞으로 AI가 전 산업에 적용되면서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지난해까지의 생산성 통계를 보면 아직 그런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올 들어 지난 13일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들은 3조 7000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의 순매도 규모는 4조 9000억원으로 더 많다. 그러나 외국인은 8조 9000억원어치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이 외국인에게 주식을 저렴하게 넘기고 있는 것 같다.

주가지수는 단기적으로 명목 GDP를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주가는 명목 GDP를 따라 성장한다. 균형적 시각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시장에 접근할 때다.

이미지 확대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2024-02-19 2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