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태열 취임 27일만에 中 외교장관 첫 통화 … 왕이 방중 초청

조태열 취임 27일만에 中 외교장관 첫 통화 … 왕이 방중 초청

고혜지 기자
고혜지 기자
입력 2024-02-06 23:45
업데이트 2024-02-06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 장관, 지난 10일 취임 후 27일만 中 통화
미국·일본·호주·베트남 이어 다섯번째 상견례
조태열 “상호 편리한 시기 방중하도록 협의”
한중 관계, 공급망, 북핵·북한 문제 등 논의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6일 취임 27일 만에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상견례를 겸한 전화통화를 했다.
이미지 확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6일 취임 후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상호 인사를 겸해 첫 통화를 하고 있다. 조 장관은 이날 왕 부장과 50분간 통화를 갖고, 고위급 교류와 공급망 협력 등 한중관계, 북핵·북한 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 외교부 제공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6일 취임 후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상호 인사를 겸해 첫 통화를 하고 있다. 조 장관은 이날 왕 부장과 50분간 통화를 갖고, 고위급 교류와 공급망 협력 등 한중관계, 북핵·북한 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 외교부 제공
외교부는 이날 조 장관이 오후 9시 왕 부장과 50분간 통화하며 고위급 교류, 공급망 협력 등 한중관계 전반 사항과 북핵·북한 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지난달 10일 임명된 후 주요국 카운터파트 간 통화로는 다섯 번째로 중국과 통화했다. 앞서 조 장관은 미국(1월11일), 일본(1월23일), 호주(1월25일), 베트남(1월26일) 순으로 취임 인사를 겸한 전화 통화를 진행한 바 있다. 취임 27일 만에 왕 부장과 통화한 것을 놓고, 나흘 만에 통화했던 박진 전 외교부 장관에 비해 지체됐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통화 지연이 소원해진 한중관계의 현주소를 보여준다는 해석도 나왔됐으나 당국은 일정 조율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통화에서 왕 부장은 “앞으로 조 장관과 좋은 업무 협력 관계를 형성해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며 조 장관의 방중을 초청했다. 이에 조 장관은 왕 부장의 취임 축하와 방중 초청에 사의를 표하고 “상호 편리한 시기에 방중하는 방안에 대해 외교 채널을 통해 협의해 가자”고 답변했다.

양측은 한중 관계를 중시하고 이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기로 한 공감대를 재확인했다. 또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수준에서 전략적 교류·소통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와 관련 조 장관은 “한중 양국이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고 협력의 성과를 쌓아나가며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그러면서 “지난 11월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서 차기 정상회의 준비를 가속화해 나가기로 공감한 바 있다”고 상기하고 이를 위한 후속 협의를 진전시켜 가자고 제안했다. 왕 부장은 의장국인 한국의 노력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

양 장관은 또한 한중 외교안보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1.5트랙 대화 등의 협의체가 조기 개최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변화하는 통상 환경 속에서 양국 간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 등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역 투자를 심화해 새로운 발전 동력을 찾아 나가자고도 했다.

조 장관은 북한이 안보리 결의가 금지하고 있는 핵·미사일 개발과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지속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중국 측에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의 길로 나오도록 건설적인 역할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국내외 우려를 전달하면서 탈북민들이 강제북송되지 않고 희망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중국 정부의 각별한 협조를 요청했다.
고혜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