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감 후] 당신의 ‘금쪽이’는 안녕하십니까/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마감 후] 당신의 ‘금쪽이’는 안녕하십니까/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4-02-02 03:28
업데이트 2024-02-08 0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3월 대한소아청소년의사회는 소아청소년과 폐과 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당시 5년간 개업한 소아청소년과 병의원은 617곳이었고, 폐업한 곳은 662곳으로 순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소아청소년 인구는 빠르게 줄고 있는데, 의료수가는 저가로 책정돼 소아청소년 전문의가 병의원을 운영하는 데 한계에 다다르게 됐다는 것이 의사들이 밝힌 폐과 이유였다.

하지만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소아청소년과와 다르게 진료과 명칭에 ‘정신’이라는 두 글자를 더한 소아청소년정신과는 성업 중이다. 유명한 대학병원 교수에게 초진을 받으려면 1년 반 이상을 대기해야 한다. 개원의들을 찾는 소아청소년들이 증가하면서 과거 성인 진료도 하던 개원의들도 소아와 청소년으로 진료 대상을 한정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청소년들의 마음 건강에 심각한 적신호가 켜진 상황은 통계로도 확인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립중앙의료원에 따르면 2022년 정신병원에 입원한 10~20대는 1만 6819명으로 전체 입원 환자의 약 22%에 달했다. 2017년 1만 3303명에 비해 5년 만에 3500여명이나 늘어난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아동·청소년들의 마음 건강을 악화시킨 촉매가 됐다고 진단한다. 학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가장 빨리 시작하고, 가장 늦게 끝낸 기관이었다. 약 2년 동안 학생들은 친구들과 어울리며 갈등을 조정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등의 관계 맺기 방법을 배우지 못했다. 반면 초등학교 때부터 선행학습을 위해 여러 학원을 순례하는 공부 스트레스와 입시 경쟁은 코로나 기간 동안에도 멈추지 않고 가동됐다. 마음 건강이 악화될 수밖에 없었다.

교사들도 코로나 이후 학교로 복귀한 아동들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토로한다. 갈등 상황을 참지 못하고, 친구에게 양보해야 하는 상황을 견디지 못해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다.

최근 만난 한 초등학교 교사는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되는 학생을 지도하던 중 폭행을 당해 멍과 타박상이 생긴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교사는 “화가 나면 물건을 던지거나 책상을 뒤엎어 다른 학생들의 수업을 침해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보통 이 같은 경우 해당 학생이 참여하는 방과후 수업 강좌가 폐강될 때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학교에서는 다른 학생들의 학습권을 방해하는 학생이 있을 때 방과후 수업 강좌를 폐강하는 등의 소극적인 대응밖에 할 수 없다. 학습 지도와 더불어 아이들의 마음 건강까지 보살피는 교사들도 많지만,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을 하려던 교사들이 아동학대로 신고당하고 악성 민원에 시달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때문에 교사가 할 수 있는 생활지도의 폭은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지금은 부모의 이기심이나 사회의 무관심이 ‘금쪽같은’ 아이들을 오히려 어둠 속에 방치하고 고립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할 때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처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길러 내는 데는 교육당국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세심한 관심과 적극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아이들의 마음 건강은 대한민국의 건강한 미래와 직결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이은주 기획취재부 차장
2024-02-02 2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