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채운·김현겸 2관왕… 밀라노의 꿈☆

이채운·김현겸 2관왕… 밀라노의 꿈☆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24-02-02 03:28
업데이트 2024-02-02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4 동계청소년올림픽’ 폐막

李, 하프파이프서 ‘금빛 피날레’
피겨팀 4명 ‘이벤트’에서 금메달
한국, 金 7개로 3위로 깜짝 도약


이미지 확대
한국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이 1일 강릉아이스아레나 열린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팀 이벤트에서 금메달을 딴 뒤 시상식에서 찰칵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김현겸(남자싱글), 이나무(아이스댄스), 김유성(여자싱글), 김지니(아이스댄스), 신지아(여자싱글). 남자싱글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건 김현겸은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과 하프파이프 정상에 선 이채운과 함께 대회 2관왕에 올랐다. 강릉 연합뉴스
한국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이 1일 강릉아이스아레나 열린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팀 이벤트에서 금메달을 딴 뒤 시상식에서 찰칵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김현겸(남자싱글), 이나무(아이스댄스), 김유성(여자싱글), 김지니(아이스댄스), 신지아(여자싱글). 남자싱글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건 김현겸은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과 하프파이프 정상에 선 이채운과 함께 대회 2관왕에 올랐다.
강릉 연합뉴스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강원2024) 폐막식 날 한국이 금메달 2개를 추가해 종합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스노보드의 간판 이채운(18·수리고)과 한국 피겨팀이 연이어 금빛 피날레를 장식했다.
이미지 확대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과 하프파이프 정상에 선 이채운. 강릉 연합뉴스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과 하프파이프 정상에 선 이채운.
강릉 연합뉴스
이채운은 1일 강원 횡성 웰리힐리파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결승에서 88.50점으로 또 포디움의 정상에 섰다. 지난달 25일 남자 슬로프스타일에 이은 이채운의 두 번째 금메달로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과 피겨팀 이벤트에서 모두 우승한 김현겸(18·한광고)에 이어 한국 선수단 두 번째 2관왕에 올랐다.

이미 지난해 3월 국제스키연맹(FIS)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역대 최연소(16세 10개월)로 우승을 차지했던 이채운은 또래 선수들과 겨루는 이번 대회에서 정상급 기량을 뽐냈다.

김현겸과 여자 싱글 신지아(16·영동중), 아이스댄스 김지니-이나무(이상 17·경기도빙상연맹)로 짜여진 한국은 이날 강원 강릉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팀 이벤트에서 순위 점수 13점으로 미국(12점)을 한 점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피겨팀 이벤트는 4개 세부 종목(남녀 싱글, 아이스댄스, 페어)에서 순위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상위 3개 종목 점수를 합산해 최종 순위를 가른다.

금메달 2개를 추가한 한국은 전날 종합 7위에서 3위(금 7, 은 6, 동 4)로 이날만 4계단 뛰어오르며 기분 좋게 대회를 마쳤다. 공식적으로는 국가별 메달 집계에 따른 순위를 매기지 않는다. 하지만 2년 뒤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개최국인 이탈리아가 금메달 12개(은 3, 동 4)로 종합 1위에 오르며 자존심을 세울 정도로 참가국들은 성적에 신경을 썼다.

과거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 피겨 등에서 집중적으로 메달을 수확했던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봅슬레이, 스노보드, 프리스타일스키 등 불모지에서 성과를 냈다.

흥행 면에서도 성공적이었다. 강원 2024 조직위는 이날 “경기 관중 27만명에 문화 행사 관람객은 23만명으로 모두 합쳐 50만명이며, 목표로 삼은 25만명을 훌쩍 넘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대회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기 시설을 그대로 활용해 당시 대회 예산(2조 7890억원)의 3.5%에 불과한 967억원의 예산으로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장형우 기자
2024-02-0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