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동훈, 3선 의원과 오찬…‘당정 관계·특검법 리스크’ 대응 요구도

한동훈, 3선 의원과 오찬…‘당정 관계·특검법 리스크’ 대응 요구도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1-15 17:51
업데이트 2024-01-15 1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당 3선 의원들과 오찬 회동을 하고 있다. 2024.1.15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당 3선 의원들과 오찬 회동을 하고 있다. 2024.1.15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취임 후 처음으로 당내 3선 의원과 오찬 회동을 가졌다.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100여분간 이뤄진 이날 회동에는 장제원·권은희 의원을 뺀 13명의 의원이 모두 자리했다.

한 비대위원장이 취임 이후 헌신을 강조해온 만큼 중진을 대상으로 총선 불출마나 험지 출마 요구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참석자들은 선거 관련 민감한 이야기는 실제로 오가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 위원장도 오찬 후 기자들이 ‘3선 의원들에게 요청한 헌신이 있나’라고 묻자 “저런 자리가 그런 헌신을 요구할 만한 자리는 아니지 않나”라며 “내가 뵙고 좋은 얘기를 나눴다. 내가 정치 경험이 많지 않기에 좋은 경험을 전수해달라고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그는 또 “대부분 지방 순회를 하며 친분을 쌓은 분들”이라며 “당을 이끄는 과정에서 건설적인 조언을 많이 줬고, 내가 주로 많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회동에서 중진 의원 일부는 대통령실과 당의 ‘수직적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 위원장은 “당정관계는 당은 당의 역할을 하고 정은 정의 역할을 하는 거다. 헌법과 법률에 의해 일하는 거고, 특별히 그 이상의 말을 할만한 원칙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지금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아마도 국민께서 달라진 모습들, 건강한 당정 관계로 다시 복원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당 3선 의원들과 오찬 회동 전 인사하고 있다. 2024.1.15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당 3선 의원들과 오찬 회동 전 인사하고 있다. 2024.1.15
회동에서는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이른바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데 부정적인 여론이 높은 것과 관련해 제2부속실 설치나 특별감찰관 임명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안철수 의원은 오찬 후 기자들과 만나 “주민들이 가장 관심 있게 보는 것이 제2부속실이나 특별감찰관이다. 조건 없이 특별감찰관을 임명하자. 국회에서 3명의 후보를 가능한 한 이른 시일 안에 정하자’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안 의원은 “이 문제에 대해 당이 제대로 된 모습을 보이고 국민에게 우리가 잘 관리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드리지 못하면 아마도 이번 선거에서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대로 간다면 경기도는 10석 전후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는 수도권 위기론이 여전히 고쳐지지 않고 있으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더불어민주당이 김 여사 모녀가 2번째 주가 조작으로 23억원의 차익을 봤다는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특검을 재차 요구한 것에 대해 한 위원장은 “문재인 정권 당시 문건 아닌가. 그때 왜 안 했나”라며 “쌍특검은 모두 총선용 악법이라는 입장이고, 국민도 알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법 거부권에 대한 국민 여론이 좋지 않다는 지적에는 “민심이 어떤 것이고 정확히 어떤지 제가 평가할 문제는 아니다”며 “국민께 우리가 더 좋은 정치를 하겠다는 점을 절실히 설명하겠다”고 전했다.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