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우리는 재해 대비가 됐을까/김진아 도쿄 특파원

[특파원 칼럼] 우리는 재해 대비가 됐을까/김진아 도쿄 특파원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4-01-08 00:58
업데이트 2024-01-08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진아 도쿄 특파원
김진아 도쿄 특파원
새해 첫날 기사 마감을 끝내고 한숨 돌리려는데 스마트폰에 지진 경보가 떴다. 한국에서 한 번도 겪어 보지 않은 지진을 일본에서는 여러 차례 겪어 봤기 때문에 그러려니 했는데 이번에는 조금 달랐다. 흔들림이 꽤 길었다. 새해 특집 방송을 하던 NHK는 방송을 끊고 곧바로 속보를 띄우며 긴급재난방송으로 전환했다.

이시카와현 노토반도를 덮친 규모 7.6 지진 속보를 전달하던 NHK 아나운서의 목소리는 공포 그 자체였다. 아나운서는 “동일본대지진의 쓰나미를 잊지 말고 목숨을 구하기 위해 피난하라”, “조금이라도 더 높은 곳으로 도망가라”, “포기하지 말고 피해야 한다”고 외쳤다. 도쿄의 흔들림은 규모 3이었지만 나조차 서둘러 건물 밖으로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그의 목소리에서는 긴박감이 묻어났다.

쓰나미 경보가 해제된 지난 2일 NHK는 지진 피해 방송 틈틈이 ‘겨울 피난 시의 복장과 비상용품’ 등에 대해 수시로 방송했다. 그런 방송을 보면서 지진 같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등을 알게 됐다.

지진, 쓰나미, 화산 폭발 등 각종 자연재해가 빈번한 일본에 있다 보니 한국에 살 때는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을 배우며 챙기고 있다. 지금 사는 집을 소개해 준 부동산중개인은 지진에 대비해 가스버너가 있어야 한다며 남는 것을 하나 주기도 했다. 또 단수에 대비해 빈 페트병에 물을 받아 보관해 놓아야 하며 긴급 피난에 대비해 여권 등 필요한 것을 바로 가지고 갈 수 있도록 준비해 두는 게 좋다고도 했다. 시키는 대로 다 해 놨다.

도쿄 집에는 1년에 한 번 관계자가 집 안까지 들어와 소방 점검을 한다. 처음에는 출근 직전 소방 점검을 해야 한다며 찾아오길래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하느냐고 짜증을 낸 적도 있다. 하지만 그런 점검 때문에 집에 있는 대피경보 안내 스피커나 화재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등의 확인이 가능했다. 베란다에 있는 비상용 사다리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도 배웠다.

한국에서 살던 아파트에 비상용 사다리가 있었던가. 아파트 복도에 있던 화재 방지 철문은 이동이 불편하다고 열어 두지 않았나. 한국에서는 자연재해나 화재 등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제대로 배운 적이 없다.

일본을 강타한 노토반도 강진은 외국에서 일어난 하나의 자연재해로 취급하고 끝낼 일만은 아니다. 이번 지진으로 강원도 동해에 수위는 낮지만 쓰나미가 일어나기도 했다. 과거 포항과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해 큰 피해를 본 적도 있다. 지진 대비가 안 됐던 우리는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하다못해 지난해 성탄절에 발생한 도봉구 아파트 화재에서 많은 사람이 충격을 받은 건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에 이러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른다는 점이었다. 한국은 안전 교육에 무감각하다. 아는 게 곧 자신을 지키는 법이다. 자연재해 등 각종 사고에 대한 대비가 됐는지 살펴보고 재난 발생 시의 대처법 등을 필수적으로 익히도록 해야 한다. 한국이 자연재해 안전 국가라는 안이한 생각은 접어야 한다.
김진아 도쿄 특파원
2024-01-0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