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모의 신념이 만든 ‘아이를 위한다는 착각’

부모의 신념이 만든 ‘아이를 위한다는 착각’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1-08 00:57
업데이트 2024-01-08 0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스켑틱’ 양육의 본질 진단
“어떻게 생각해야 하느냐가 중요”

이미지 확대
교양 과학 계간지 ‘한국 스켑틱’ 겨울호(36호)
교양 과학 계간지 ‘한국 스켑틱’ 겨울호(36호)
한국 출산율 0.78명.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2023년 1~10월에 태어난 아이는 20만명에 미치지 못해 출산율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많은 생물이 가혹한 환경에서는 성장과 번식을 멈추고 휴면 상태에 들어간다. 한정된 자원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자녀를 적게 낳고 소수의 자녀에게 자원을 몰아주는 것이 본인의 생존 가능성은 물론 후손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이런 양육 방식이 과연 아이를 위한 좋은 방법일까. 교양 과학 계간지 ‘한국 스켑틱’ 겨울호(36호)는 ‘아이를 위한 착각’이라는 주제로 양육의 본질과 변화하는 시대 및 교육의 필요성 등을 진단했다.

논픽션 작가인 데니스 정크는 ‘이누이트족의 스토리텔링 양육법과 양육의 본질’이라는 글을 통해 아이들을 부모가 생각하는 도덕적 테두리 안에서 키우려고 하는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누이트족 부모들은 자녀의 나이에 맞는 딜레마를 설정해 연극에 참여시킴으로써 평정심과 유연한 태도를 기르며 평화를 유지할 줄 아는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이누이트족의 연극처럼 다소 장난기 어린 태도로 어려운 상황을 헤쳐 나가는 법을 가르쳐야 할 부모들이 편집증과 진지함으로 무장한 채 ‘세상은 위험하고 연약한 정신으로는 헤쳐 나갈 수 없다’고 훈계만 하려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정크는 “현대사회에서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수단이 문학”이라며 “스토리텔링을 통해 아이들이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하리하라’라는 필명으로 잘 알려진 국내 대표적 과학커뮤니케이터 이은희는 ‘양육법에 정답은 없다’라는 글에서 아이가 사회적으로 제 몫을 하는 어른으로 자라는 것은 ‘태어나는 인간 대 만들어지는 인간’이라는 교육학과 진화심리학의 오랜 화두였다고 지적한다.

그는 행동주의 심리학자 스키너의 ‘스키너 상자 실험’과 해리 할로의 ‘원숭이 실험’ 등 여러 연구를 살피며 양육 과학의 변화를 분석했다. 그는 “양육 과학의 역사를 보면 독립적이고 강인한 아이로 키우겠다는 의도적 무관심이나 아이를 향한 조건 없는 사랑 모두 결코 좋은 양육이 아님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아이의 진정한 성장은 사회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이뤄진다고 강조하며 이는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때 가능해진다고 주장한다.
유용하 기자
2024-01-08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