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귀여운 미키마우스가 살인마로…왜 어린이 캐릭터가 동심파괴 주인공됐나

귀여운 미키마우스가 살인마로…왜 어린이 캐릭터가 동심파괴 주인공됐나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4-01-03 14:18
업데이트 2024-01-03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영화 ‘미키 마우스 트랩’의 한 장면.
영화 ‘미키 마우스 트랩’의 한 장면.
월트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미키 마우스의 초기 버전에 대한 저작권이 만료되면서 미키 마우스 가면을 쓴 살인마가 등장하는 공포영화가 처음 공개됐다.

2일(현지시간) 미국의 영화자료 사이트 IMDB에 따르면 미키 마우스 가면을 쓴 살인마가 놀이공원 오락실을 습격한다는 내용의 공포영화 ‘미키스 마우스 트랩’(미키의 쥐덫) 예고편이 전날 공개됐다.

예고편 영상 속에는 미키 마우스가 가장 처음 등장한 1928년작 무성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이 몇몇 장면이 나오며, 칼을 든 살인마가 쓴 가면은 미키 마우스의 원래 얼굴과 달리 기괴한 모습이다.

‘미키스 마우스 트랩’ 제작진은 “‘증기선 윌리’의 미키 마우스가 사람들을 죽이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며 “우리는 그저 미키 마우스를 재미있게 즐기고 싶었다”고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저작권이 해제된 디즈니사의 1928년작 무성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의 한 장면.
저작권이 해제된 디즈니사의 1928년작 무성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의 한 장면.
이 영화의 각본과 제작을 맡고 미키 마우스 가면 뒤에 숨은 남자를 연기한 영국 배우 사이먼 필립스는 영국 BBC 인터뷰에서 “미키를 가족영화에 넣으면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 아니다”라며 “동전을 뒤집으려면 이미 존재하는 것과 완전히 반대되는 것을 생각해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저작권 보호기간은 공표 후 95년까지로 디즈니가 갖고 있던 ‘증기선 윌리’의 저작권이 올해 1월 1일부터 만료되면서 누구나 자유롭게 이 작품을 공유 및 재사용하고 각색할 수 있게 됐다.

공포영화뿐 아니라 ‘증기선 윌리’에서 영감을 받은 공포 비디오 게임 ‘인페스테이션 88’도 1일자로 출시됐다.

다만 ‘증기선 윌리’ 이후 제작된 현대화된 미키 마우스 캐릭터들은 여전히 디즈니에 저작권이 있다.
이미지 확대
곰돌이 푸가 살인마로 등장하는 영화 ‘곰돌이 푸: 피와 꿀’의 포스터
곰돌이 푸가 살인마로 등장하는 영화 ‘곰돌이 푸: 피와 꿀’의 포스터
곰돌이 푸 역시 2022년 1월부터 저작권이 만료되면서 공포영화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영화에 앞서 한 통신회사 광고에서 푸는 평소의 온화한 성격과 달리 짜증을 내는 캐릭터로 나왔다.

지난해 4월 국내 개봉된 영화 ‘곰돌이 푸: 피와 꿀’에서 푸와 아기돼지 피글릿이 도끼를 든 살인마로 나온다. 아기사슴 밤비 역시 2021년 저작권이 소멸되어 광견병이 걸린 밤비가 등장하는 실사 공포 영화로 제작될 예정이다.

미키 마우스와 미니 마우스뿐 아니라 1928년 발표된 영화, 책, 음악, 캐릭터의 저작권도 올해부터 자유롭게 사용 가능해졌다.

1928년작으로 찰리 채플린의 무성 로맨틱 코미디 ‘서커스’, 영국 작가 앨럭 알렉산더 밀른의 동화책 ‘푸 코너의 집’,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DH 로런스의 ‘채털리 부인의 사랑’ 등의 저작권이 만료됐다.
이미지 확대
디즈니 캐릭터 밤비도 저작권이 풀리자 공포 실사 영화 제작이 확정됐다
디즈니 캐릭터 밤비도 저작권이 풀리자 공포 실사 영화 제작이 확정됐다
미키 마우스는 디즈니사를 상징하는 캐릭터로 디즈니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1970년 첫 저작권법은 저작권 등록 후 14년간 보호였지만, 디즈니사의 노력으로 보호 기간이 점점 늘어 95년까지로 확장됐다. 따라서 미국의 저작권법을 ‘미키 마우스 보호법’이라고 비꼬는 경우도 있다.

디즈니사는 ‘증기선 윌리’의 저작권 만료를 앞두고 미키 마우스의 현대적인 버전에 대한 권리 보호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한 바 있다.
윤창수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