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포탄엔 ‘눈’도 ‘귀’도 없으니…/송한수 국제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포탄엔 ‘눈’도 ‘귀’도 없으니…/송한수 국제부 선임기자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23-12-25 23:37
업데이트 2023-12-26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송한수 국제부 선임기자
송한수 국제부 선임기자
“아부(생후 18개월)의 이야기는 뉴스에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 울음소리도, (지구촌에서) 영양실조로 10초마다 한 명의 아이가 죽는다는 사실도 듣지 못할 것입니다.”

2년 남짓 전인 2021년 8월 18일, 굶주리며 죽어가는 아이들을 외면할 순 없다며 사람의 애를 끊어 놓는 하소연은 이렇게 시작된다. 그리고 오늘도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내일도, 모레도, 보고 읽게 될 터이다. 러닝타임 1분 16초인 영상은 헤아릴 수도 없는 ‘또 다른 아부’를 나직이 웅변한다. 국제구호기관에 따르면 매년 530여만명의 5세 미만 어린아이들이 굶주림의 고통 속에서 숨을 거둔다.

서부 아프리카에서 ‘아부’란 이름은 고귀함(nobility)을 뜻한다고 한다. 아부를 우리네로 치면 ‘귀동이’쯤 되지 않을까 싶다. 덕분에 파생된 명사도 숱하다. 역시 ‘귀남이’ ‘금동이’ ‘귀숙이’ 이런 식이다.

핏덩이로 하여금 세상에 나오자마자 생사를 넘나들도록 만든 제일 원인은 바로 전쟁이다. 잃을 게 많은 기득권층, 특히 유력한 정파의 좁다란 입장에 아이들은 마냥 괄호 밖으로 밀려나고 만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무력충돌이 벌써 석 달째로 치닫고 있다.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가 이미 2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더군다나 70%가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와 여성이란 차가운 고발은 전쟁의 무자비함과 비정함을 일깨우고도 넉넉히 남는다.

그토록 강변하는 전쟁의 목적은 무엇인가. 진짜 국민을 위해서인가. 새삼 돌아보게 된다. 이스라엘 보안군(IDF)이 자국 인질을 거짓으로 판단해 사살하는 끔찍한 장면도 드러났다. 그러나 한 나라의 총리가 무고한 시민 희생에도 잠시 고개를 숙이는 시늉으로 그쳤다. 곧장 전장으로 발길을 돌렸다.

지금 대한민국 수도 한복판인 서울 중구 세종대로 청계광장에 내걸린 몇몇 플래카드는 위험천만한 꼴이다. 이스라엘 편향을 지나 전쟁을 독려한다. 결국 아무에게도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다.

플래카드는 입증되지도 않은 반인륜범죄를 덧씌우며 대차게 공격에 합세한다. 반대쪽도 똑같은 피해를 입었다고 내세운 판이다. 우리는 2007년 복음 전파를 이유로 아프가니스탄에 무단 입국했다가 모진 일을 겪었던 종교인들을 잊지 못한다.

크든 작든 일단 무력충돌이 생기면 희생을 낳기 마련이다. 누군가의 귀중한 아들, 누군가의 귀중한 딸이 희생당하는 셈이다. 집단적 이성 마비로 다시 보복을 잉태하는 피의 악순환을 거듭한다.

정부 고위관계자부터 먼저 나서서 전쟁을 불사하겠다는 엄포를 일삼으며 다른 곳으로 화살을 돌릴 게 아니다. 오히려 “싸워야 한다”는 국민은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게 참된 지도력이다.

대화의 길목으로 나아가도 시원찮은 마당에 이스라엘과 하마스처럼 협상 상대를 궤멸시키겠다며 위협하는 행태는 한갓 세 살배기 어린아이 눈에도 평화 염원과 지극한 모순으로 비친다.

어디에도 ‘고귀한 전쟁’은 없다. 지워도 좋을 ‘고약한 평화’도 없다. 그런데 긴장 조성으로 반사이익을 노리는 정파는 전쟁을 부추기며 입김을 불어넣기 십상이다. 무기에 의지하지 않으면서 국민들이 잘 지낼 수 있도록 안녕을 꾀해야 지도자로 옳다. 스스로 그러지 못할 사정이 있다면 감투나 완장이 버겁기만 한 무능을 자책하는 게 마땅하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장식한 2023년 12월 25일, 서울신문 본사 앞에선 6·25전쟁 사진전이 눈길을 붙들었다. 정전 70주년 기념일을 반년이나 넘긴 채 이어지며 다시는 그런 비극을 빚지 말자고 외친다.

아이들 미래를 떠올리면 더욱 그렇다. 우리는 과연 그런 길을 가고 있는가. 다시 돌이킨다.
송한수 국제부 선임기자
2023-12-26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