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는 것이 힘? 살면서 때론 무지가 축복!

아는 것이 힘? 살면서 때론 무지가 축복!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12-22 01:42
업데이트 2023-12-22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TMI:정보가 너무 많아서/캐스 R 선스타인 지음/고기탁 옮김/열린책들/360쪽/2만원
동조하기/캐스 R 선스타인 지음/고기탁 옮김/열린책들/256쪽/1만 800원

“정보는 많을수록 좋다” 주장
“기능·효과 정확히 파악해야
더 나은 삶에 도움 된다” 일침
나치 홀로코스트 ‘동조행위’
가짜 정보 추종이 부른 파괴
유불리가 선악인 세태 경종


이미지 확대
현대 사회는 ‘정보 과잉’ 사회다. 범람하는 정보 속에 사람들이 원하지 않거나 교묘하게 거짓을 섞은 허위 정보까지 포함되면서 개인의 선택을 방해하거나 사람들의 의사와 무관한 정보들도 넘쳐나다 보니 오히려 올바른 판단을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
현대 사회는 ‘정보 과잉’ 사회다. 범람하는 정보 속에 사람들이 원하지 않거나 교묘하게 거짓을 섞은 허위 정보까지 포함되면서 개인의 선택을 방해하거나 사람들의 의사와 무관한 정보들도 넘쳐나다 보니 오히려 올바른 판단을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
현대인들은 스마트폰 알람으로 아침에 눈을 뜨고, 인터넷 쇼츠(짧은 동영상)를 보며 잠든다. 하루 종일 스마트폰, 노트북, TV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수많은 소셜미디어(SNS)에서 쏟아져 나오는 정보에 둘러싸여 있는 그야말로 정보 과잉을 넘어 ‘정보 홍수의 시대’다.

과거에는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이 절대 진리처럼 여겨졌지만, 이제는 ‘모르는 게 약’일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적 석학이 “아는 것은 힘이지만, 무지는 축복이다”라는 주장을 내놔 눈길을 끈다.

주인공은 201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리처드 세일러 교수와 함께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넛지’를 쓴 캐스 선스타인 하버드대 교수다. 선스타인 교수는 행동경제학과 공공정책을 결합한 선도적 연구로 오바마와 바이든 행정부에서 정책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런 선스타인 교수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겪는 정보 과잉과 그에 대한 취사선택, 동조 현상을 행동경제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2권의 책을 들고 찾아왔다.
이미지 확대
그는 “이 책의 핵심 질문은 간단하다”면서 정보 과잉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과연 얼마나 많아야 ‘정보 과잉’(TMI)이라고 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알권리’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사람이 정보를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더라도 소비자에게는 정보에 대한 권리가 있다면서 알권리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다. 주어진 정보가 삶을 개선해 주지 않더라도 정보가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더 많은 자유를 누릴 수 있다면서 정보 유무와 개인의 자율성 간 상관관계를 강조하며 알권리를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선스타인 교수는 공공정책 분야에서 필요한 정보란 사람들의 행복이나 시간, 재정과 관련해 더 나은 선택을 도울 수 있는 것을 말한다고 주장한다. 그 과정에서 통념과 달리 알권리의 허점에 대해 지적하며 불필요함을 자주 강조해 책을 읽으면서 당혹스러울 때도 있다. 선스타인 교수는 “정보는 현대의 삶에서 가장 강력한 도구이지만 때로는 모르는 편이 도움이 될 때도 있다”며 “정보가 어떻게 기능하고 어떤 효과를 가졌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할 때만 더 행복하고 자유롭고, 더 나은 삶을 더 오래 영위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자신과 비슷한 부류의 집단과 어울리는 동조 현상은 개개인의 관점에서는 이성적 행동으로 볼 수 있지만, 잘못된 정보에 의한 것이거나 의문 없이 천편일률적으로 사고할 때는 사회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왼쪽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연설에 열광하는 이들의 모습.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나치즘은 ‘나쁜 동조’ 현상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서울신문 DB·AP
자신과 비슷한 부류의 집단과 어울리는 동조 현상은 개개인의 관점에서는 이성적 행동으로 볼 수 있지만, 잘못된 정보에 의한 것이거나 의문 없이 천편일률적으로 사고할 때는 사회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왼쪽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연설에 열광하는 이들의 모습.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나치즘은 ‘나쁜 동조’ 현상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서울신문 DB·AP
이미지 확대
이런 입장은 ‘동조하기’에서도 이어진다. 선스타인 교수는 “동조 현상은 인류의 기원만큼 오래됐다”고 전제하며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등 종교들의 세계적 확산도 동조의 산물”이라고 말한다. 종교에서 말하는 관용과 친절, 배려, 인간의 존엄성 등은 동조를 원동력으로 삼는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역시 동조로 인해 발생했다.

저자는 사람들이 동조 행위를 하는 이유는 정보가 부족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와 관련해 타인의 판단이 최선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현대인은 가짜정보와 헛소리가 넘쳐 나는 온라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무엇을 따를지, 누구를 따를지 결정하기 전에 상당한 선행 작업과 판단 없이 타인의 목소리만 좇다가는 가장 소중하고 필수적인 어떤 것을 파괴할 수도 있다고 선스타인 교수는 경고한다.

책을 읽다 보면 자기편에 유리할 때는 알권리를 주장하다가 불리한 것에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생각을 타인에게 위탁한 채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는 사람이 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단면을 꼬집는 것 같아 뜨끔해진다.
유용하 기자
2023-12-22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