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탈리아 ‘일대일로’ 탈퇴… 1조 달러 쏟아부은 中 위기

이탈리아 ‘일대일로’ 탈퇴… 1조 달러 쏟아부은 中 위기

임병선 기자
입력 2023-12-08 00:22
업데이트 2023-12-0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 효과 없자 협정 불참 선언
中 외교부 “공동건설 먹칠 반대”
中·EU 정상회담서 입장차 여전
시진핑 “협력 동반자 돼야” 강조

이미지 확대
시진핑(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7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제24차 중·유럽연합(EU) 정상회담을 위해 방문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EU 집행위원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EU는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강조했으며, 시 주석은 “제도가 다르다고 경쟁자로 여기면 안 된다”고 밝혔다. 베이징 신화 뉴시스
시진핑(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7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제24차 중·유럽연합(EU) 정상회담을 위해 방문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EU 집행위원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EU는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강조했으며, 시 주석은 “제도가 다르다고 경쟁자로 여기면 안 된다”고 밝혔다.
베이징 신화 뉴시스
이탈리아 정부가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협정을 갱신하지 않겠다는 공식 서한을 지난 3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대일로에 참여한 유럽연합(EU) 18개국 중 경제 규모가 가장 큰 이탈리아가 먼저 발을 빼면서 이탈이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르자 멜로니 총리와 귀도 크로세토 국방장관을 비롯한 각료들은 진즉부터 가입 결정이 실책이었음을 인정해 왔다.

탈퇴 이유는 200억 유로(약 28조 5000억원)를 이탈리아에 투자하겠다는 중국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등 미미한 경제 효과 때문이다. 지난해 이탈리아의 대중국 수출액은 165억 유로에 그쳤다. 반면 프랑스는 230억 유로, 독일은 1070억 유로에 이른다. 이탈리아가 중국에서 수입하는 규모가 2019년 317억 유로에서 4년 사이 575억 유로로 곱절 가까이 늘어나 수출입 불균형이 도드라졌다. 안토니오 타야니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이런 통계를 제시하면서 “실크로드는 기대했던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탈리아가 가입 4년 만에 탈퇴하면서 중국이 지난 10년간 1조 달러를 쏟아부은 일대일로 사업은 위기를 맞게 됐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일대일로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환영받는 국제 협력 플랫폼”이라면서 “중국은 공동 건설을 먹칠·파괴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하고, 진영 대결과 분열 조장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탈리아를 직접 겨냥하지 않고 ‘중국발 위협’을 꾸며낸 미국 탓으로 돌리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날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정상회담을 시작하며 “정치적 신뢰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전략적 합의를 모아 상호이익과 협력의 동반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이탈 움직임을 차단하려는 안간힘으로 읽힌다.

시 주석은 “중국과 유럽은 다극화를 추진하는 세력이자 글로벌화를 지지하는 큰 시장이며 다양성을 옹호하는 세력으로서 양측 관계는 세계의 평화·안정·번영과 관련이 있다”면서 “중국과 유럽의 전략·경제·친환경 고위급 대화가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을 거듭 밝혔다.

EU 지도부는 중국을 향해 무역적자 해소와 디리스킹(위험제거) 등을 자주 언급했고, 중국은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나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조사 등을 문제 삼는 등 양측은 회담 전부터 각을 세웠다.
임병선 선임기자
2023-12-08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