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집값 하락에 사라진 2000만원… 가구당 자산 11년 만에 첫 감소[뉴스 분석]

집값 하락에 사라진 2000만원… 가구당 자산 11년 만에 첫 감소[뉴스 분석]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12-08 00:21
업데이트 2023-12-08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로 증명된 팍팍한 국민 살림

거주 중 주택 자산 10% 떨어져
평균 자산 5억 2727만원 3.7%↓
고금리 속 부채 ‘9186만원’ 최대

이미지 확대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이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가계금융복지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세종 뉴스1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이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가계금융복지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세종 뉴스1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고금리 기조가 부동산 가격을 끌어내리면서 가구의 평균 자산이 11년 만에 쪼그라들었다. 가구당 평균 부채가 역대 최대 규모로 불어난 상황에서 가구의 이자 부담 역시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나는 ‘고금리의 역습’이 통계로 확인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원으로 전년(5억 4772만원) 대비 3.7% 감소했다.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을 합한 자산이 전년 대비 뒷걸음질한 것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17일까지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지난해까지 가구당 평균 자산은 증가세를 이어 갔다. 최근 급격한 부동산 광풍으로 2021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인 12.8% 상승한 데 이어 지난해도 9.0% 상승했다. 올해 가구당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면서 거주하고 있는 주택 자산이 10% 감소하는 등 실물자산(4억 140만원)이 5.9% 줄어든 결과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축액 등 금융자산(1억 2587만원)은 3.8% 증가했다.
이미지 확대
고금리 기조 속에서도 부채는 늘었다. 지난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지난해 대비 0.2%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규모로 불어났다. 이 중 금융부채(6694만원)는 1.6% 줄고 임대보증금(2492만원)은 5.3% 늘었다. 다만 증가율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소 폭을 보였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4억 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해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줄었다. 고금리로 인한 이자 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가구의 비소비지출(세금·공적연금 등) 중 이자 비용은 전년 대비 18.3% 올라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평균적인 가구의 소득은 늘고 소득 불평등 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6762만원으로 근로소득(6.4%)과 사업소득(4.0%), 재산소득(2.5%), 사전이전소득(2.7%) 등이 고루 증가했다. 비소비지출(8.1%)이 소득보다 더 큰 폭으로 늘었지만 처분가능소득(5482만원)은 전년 대비 3.7% 증가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는 지난해 0.324로 전년보다 0.005포인트 하락해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다만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내수 회복에 경보음이 커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7.6%로 전년 대비 3.2% 포인트 증가했으며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가구(5.5%)도 0.8% 포인트 늘었다.

김소라 기자
2023-12-08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