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구당 자산, 11년 만에 첫 감소…순자산 5분위 격차 ‘39배’

가구당 자산, 11년 만에 첫 감소…순자산 5분위 격차 ‘39배’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2-07 13:45
업데이트 2023-12-07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발표…주택 자산 10% 하락
부채 0.2%p 늘어난 9186만원…고금리에 최저 증가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자산이 1년 전보다 2000만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자산이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2년 이후 처음으로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집값이 일시적으로 내린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 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금융자산은 1억 2587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8% 증가했지만, 실물자산은 4억 140만원으로 오히려 5.9% 감소했다. 실물자산 중에서도 주택 가격이 10% 하락한 것이 자산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지난해보다 0.2% 증가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부채 역시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브리핑에서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 견본 주택의 모습. 서울신문DB
지난해 12월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 견본 주택의 모습. 서울신문DB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 45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5억 6122만원), 60대 이상(5억 4836만원), 39세 이하(3억 3615만원)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평균 금융부채는 6694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6% 줄어든 반면 임대보증금은 1년 전보다 5.3% 증가했다. 또 연령대별 부채 증감률에서 40대와 60세 이상은 각각 1.6%, 2.7% 증가했고, 39세 이하는 2.5% 줄어들었다. 부동산 급등 시기 주택을 사들였던 20·30세대가 하락기에 다시 집을 팔고 전월세 등으로 옮긴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은 “60세 이상 가구들이 임대 수입 목적으로 거주 주택 이외의 부동산 구매를 많이 한 모습이 나타났고, 그로 인한 담보대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자료 통계청
자료 통계청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 7458만원으로, 하위 20%인 1분위 가구(1억 7287만원)의 6.8배에 달했다. 부채를 뺀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 60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956만원)의 39배로 평균 자산보다 더 크게 벌어졌다. 코로나19 시기 5분위는 자산이 더 늘어난 반면 1분위는 빚이 더 늘면서 격차가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우리 국민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676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93만원(4.5%) 늘어났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전년 대비 각각 6.4%, 4% 늘었지만, 코로나 지원금 감소로 공적 이전소득은 4.8% 감소했다.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