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치료받을 권리/박재홍 전국부 기자

[마감 후] 치료받을 권리/박재홍 전국부 기자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23-12-04 23:51
업데이트 2023-12-04 2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재홍 전국부 기자
박재홍 전국부 기자
일상의 소중함은 몸이 아프면 그제서야 다가온다. 입안의 작은 상처만으로 먹고 싶은 음식을 입안에 넣고 마음껏 씹을 수 있는 소중함을 알고, 손가락을 베인 상처만으로도 손을 씻을 수 있다는 데 대한 감사함을 깨닫는다. 하물며 긴 치료가 필요한 중증 질병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일상의 소중함은 얼마나 간절할까.

지난달 30일부터 연재하고 있는 ‘대한민국 정신건강 리포트-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십니까’를 취재하면서 만났던 정신질환자들은 일상의 소중함이 누구보다 절실한 이들이었다.

서울의 한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만난 김철호(47ㆍ가명)씨는 20세 때부터 정신질환과 싸우며 힘겨운 삶을 이어 왔다. 김씨의 병명은 조현정동장애다. 가끔 환청이 들리거나 심한 경우 통증 등 신체적 증상으로 인해 움직이기가 힘들다고 했다. 김씨의 바람은 그저 일을 하고 병이 나기 전의 생활로 돌아가고 싶은 것이라고 했다. 중증정신질환으로 분류되는 조현정동장애 치료를 위해 김씨가 매일 삼키는 약은 하루 14정에 달한다. 김씨는 “약은 꼭 먹어야 한다. 27년 전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라고 했다.

평범한 일상은 누구나 평등하게 누릴 수 있는 권리다. 이 때문에 선천적으로 평범한 일상을 누리지 못하는 장애인에 대한 법적 지원이 있고, 질병으로 아픈 이들이 차별 없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한 국민건강보험 등 사회보장 제도가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정신질환자들이 평범한 일상을 얻기 위해서는 차별적 시선을 견뎌야 한다.

27년째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김씨는 자신의 병을 외부로 알리지 않는다고 했다. 치료 사실을 알렸을 때 돌아올 시선이 걱정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취재 중 만났던 최훈석(40)씨도 우울증 치료를 받기 시작한 지 수년이 지나서야 부모님께 사실을 알렸다. 아버지가 의사인 최씨는 더이상 치료 사실을 숨길 수 없다는 생각에 ‘결심’을 하고 나서야 자신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말씀드렸다고 했다.

기획 취재를 위해 서울신문이 만난 10여명의 정신질환자는 모두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진작 치료를 받았다면 힘든 고통의 시간을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들의 치료를 막는 요인은 다양하다. 정신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주변 의료 인프라의 부재나 치료에 들어가는 경제적 부담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정신질환자가 잠재적 범죄자라거나 사회적 문제가 있다는 우리 사회의 부정적 인식은 환자 스스로가 치료를 막게 하는 첫 번째 요인이다. 가족에게 이야기하지 못하고 직장에 이야기하지 못하는 병이라면 감추고 키울 수밖에 없다. 27년을 정신질환과 싸워 온 김씨는 인터뷰에서 “내 병을 알고 자신의 삶을 희생해 치료해 준 가족이 없었다면 저는 지금 이 자리에 앉아 있을 수 없었을지 모른다”면서 “열심히 치료해서 발병 전 일을 하며 돈을 벌던 그때로 돌아가 가족들에게 보답하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정신질환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질병이다. 치료받을 권리도 누구에게나 있다. 기획 보도 ‘대한민국 정신건강 리포트’가 우리 사회가 애써 고개를 돌려 왔던 정신질환자들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박재홍 전국부 기자
2023-12-05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