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회식자리서 성추행… 피해자만 해고 통보

[단독] 회식자리서 성추행… 피해자만 해고 통보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11-10 02:32
업데이트 2023-11-10 06: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해자 고작 정직 2개월 그쳐
치료 위한 휴가 요청하자 거부
지노위 “605만원 배상” 판정
사건 이후 회사는 메일로 해고

이미지 확대
지난 5월 서울 강남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회식 자리에서 임원 C씨의 손이 직원 A씨의 가슴 부위로 향하는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 일부. A씨 측 제공
지난 5월 서울 강남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회식 자리에서 임원 C씨의 손이 직원 A씨의 가슴 부위로 향하는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 일부.
A씨 측 제공
지난 5월 서울 강남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회식 자리에서 임원 C씨의 손이 여직원 A씨의 가슴 부위에 닿고 A씨의 손을 잡아 끄는 모습 등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 일부.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이와 관련해 A씨가 제기한 차별 시정 신청 사건에서 “직장 내 성희롱이 있었다”고 인정하고 A씨의 신청을 일부 받아들였다.
지난 5월 서울 강남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회식 자리에서 임원 C씨의 손이 여직원 A씨의 가슴 부위에 닿고 A씨의 손을 잡아 끄는 모습 등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 일부.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이와 관련해 A씨가 제기한 차별 시정 신청 사건에서 “직장 내 성희롱이 있었다”고 인정하고 A씨의 신청을 일부 받아들였다.
회식 도중 임원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한 직원이 문제 제기 후 적절한 보호 조치를 받지 못하고 결국 해고 통보를 받았다.

9일 관련 업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직원 A씨가 B사를 상대로 제기한 차별 시정 신청 사건에서 “B사가 3개월 유급휴가 부여 요청을 거절한 것은 성희롱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 의무 위반임을 인정한다”며 지난 9월 A씨의 신청을 일부 받아들였다. B사는 서울 강남에 본사를 둔 뷰티 관련 업체다.

서울지노위는 이와 함께 유급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근무한 기간(7월 13일~10월 13일)에 대한 금전배상금 605만여원을 B사가 A씨에게 지급하라고 주문했다.

5월 회사 근처 식당에서 열린 회식에서 임원 C씨는 옆자리에 앉은 A씨의 가슴 쪽으로 손을 뻗었고, A씨의 손을 양손으로 잡아 자신의 가슴 쪽으로 당겼다. 이후에도 A씨의 허리를 감싸거나 허벅지에 손을 올려 잡아 달라는 제스처를 취했으며 문제 행동 이후 A씨가 건배에 응하자 귓속말로 “왜 ‘짠’했어?” 등의 말을 했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 5월 서울 강남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회식 자리에서 임원 C씨가 여직원 A씨의 손을 잡아 끌어 두 손으로 움켜준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 일부.
지난 5월 서울 강남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회식 자리에서 임원 C씨가 여직원 A씨의 손을 잡아 끌어 두 손으로 움켜준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 일부.
사건 한 달쯤 뒤 업무평가 면담에서 퇴사 압박을 느낀 A씨는 직장 내 성희롱 신고를 결심했고, 회사 측은 자체 조사 결과 C씨를 정직 2개월 처분했다. A씨는 ‘근무 병행 치료가 불가능하고 3개월 후 재판단이 필요하다’는 병원 진단서에 따라 회사에 유급휴가를 요청했지만, 회사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서울지노위는 ‘유급휴가 요청 거부는 차별적 처우에 해당한다’고 결정했다. 다만 업무평가 면담이 ‘성희롱 피해 사실을 공론화하기 전 해고하기 위한 조치’라는 A씨 주장에 대해서는 “입증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B사는 서울지노위 판정서를 송달받은 직후 A씨에게 해고 통지 메일을 보냈다. A씨가 C씨를 상대로 낸 성추행 고소 사건은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사 중이다.


이정수 기자
2023-11-10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