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명 기억해줘” “안전 사회 만들어줘”… ‘도슨트’ 된 유족들의 외침[이태원 참사 1주기]

“159명 기억해줘” “안전 사회 만들어줘”… ‘도슨트’ 된 유족들의 외침[이태원 참사 1주기]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입력 2023-10-26 18:34
업데이트 2023-10-26 2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사로 가족 잃은 이들의 1년

추모 주간 시민들과의 만남 기획
오해와 혐오 바로잡고 싶어 나서
희생자 개인사와 특별법 등 설명
“특조위 통해 진실을 알고 싶을 뿐”
“자녀가 남기고 간 소명이라 생각”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차려진 이태원 참사 분향소 앞에서 지난 21일 고 이상은씨 아버지 이성환(맨 왼쪽)씨가 시민들에게 이태원 참사 특별법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차려진 이태원 참사 분향소 앞에서 지난 21일 고 이상은씨 아버지 이성환(맨 왼쪽)씨가 시민들에게 이태원 참사 특별법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지난 2월 4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 한쪽에 차려졌던 이태원 참사 분향소는 참사 1년을 앞둔 지금까지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참사로 가족을 잃은 이들은 분향소 앞에서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때로는 울부짖으며 참사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다.

지난 20일 오후 분향소에서 만난 고 임종원씨의 아버지 익철(68)씨, 고 이상은씨의 아버지 성환(57)씨, 고 유연주씨의 아버지 형우(53)씨도 참사 이전의 삶을 잊은 지 오래됐다. 다음날 예정된 시민과 함께하는 ‘도슨트’(이태원 참사 설명 안내원) 행사 준비에 여념이 없던 세 사람은 누구보다 분주하게 움직였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 가운데 일부는 참사 1주기 추모 주간을 맞아 시민들과의 만남을 기획했다. 희생자 개개인의 이야기는 물론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진상 규명 등 앞으로 남은 과제를 직접 설명할 자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다. 성환씨는 “여전히 밝혀진 건 없고 책임자 처벌도 요원하다”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상은이, 종원이, 연주를 포함한 159명이 잊히지 않았으면 해서 용기를 내 사람들을 만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참사 이후 1년 동안 쌓여만 갔던 오해와 혐오를 바로잡고 싶은 마음도 컸다. 재판이 시작됐으니 진상 규명이 끝난 것 아니냐, 특별법 제정은 결국 보상받으려고 하는 것 아니냐….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가슴을 후벼파는 말들이 이제는 익숙해질 만도 하지만 세 사람은 “매번 무너진다”고 했다. 형우씨는 “이제 가슴에도 굳은살이 생겼다고 믿었는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며 “우리는 그날 사랑하는 가족의 마지막 순간, 그 진실을 알고 싶을 뿐”이라고 말했다.

“잠시만 저희 이야기에 귀기울여 주세요.”
이미지 확대
10·29 기억하겠습니다
10·29 기억하겠습니다 서울 중구 서울광장 앞 분향소 ‘추모의 벽’에 붙은 포스트잇.
김예슬 기자
시민들을 만나는 도슨트 행사가 있었던 지난 21일 분향소 앞은 유가족들의 외침으로 채워졌다. 간절한 호소에 10명 남짓한 시민들이 이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분향소 한편에 자리잡았다.

첫 번째 도슨트로 나선 익철씨는 분향소 앞 나무에 설치한 패널 속 사진을 가리키며 유가족들의 지난 1년을 시민들과 공유했다. 그리고 이제는 볼 수 없는 아들 종원씨의 이야기를 이어 갔다. 분향소에 놓인 영정 사진 159개 중 115번째 사진에 시선이 멈춘 익철씨는 아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익철씨는 “반도체 연구원인 우리 종원이는 그날 취직한 사촌 여동생을 만나 서울 구경을 시켜 주려 했을 뿐”이라며 “그런 아들에게 ‘놀러 나갔다가 죽은 것 아니냐’는 말이 쏟아질 때면 가슴이 너무 아프다”고 했다.

하고 싶은 말과 해야 할 말을 적은 종이를 손에 꼭 쥐고 시민들 앞에 선 성환씨는 “1년 동안 수많은 의문 속에서 국가의 책임과 그 당위성을 생각했다. 우리의 눈에는 경찰 수사나 진행 중인 재판이 모두 ‘꼬리 자르기’처럼 보인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어 “결국 특별조사위원회를 통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면 우리는 이제 더 기대할 수 있는 어떤 것도 남아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행사가 끝난 이후 “살면서 도슨트라는 걸 하게 될 줄은 몰랐다”며 미소를 보인 익철씨는 “도로 위 기자회견이 당연해진 것처럼 이것도 몇 번 더 하면 익숙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성환씨는 “시민들 입장에서 참사라는 상황을 마주하는 게 짜증나고 힘든 걸 안다”며 “하지만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진상을 규명해야 하지 않겠나. 그게 딸이 남기고 간 소명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28일에도 도슨트를 진행하며 오는 29일 이태원에서 분향소로 행진한 뒤 1주기 시민추모대회를 연다.
글·사진 김예슬 기자
2023-10-27 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