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경민의 강대국 대한민국] 보잉787은 왜 ‘메이드 인 재팬’인가/한양대 명예교수

[김경민의 강대국 대한민국] 보잉787은 왜 ‘메이드 인 재팬’인가/한양대 명예교수

입력 2023-10-26 02:02
업데이트 2023-10-26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첨단 여객기 날개 미쓰비시 제작
가벼운 탄소섬유 기술 日 독보적
소부장 독립 없인 강대국 난망
시간 걸려도 소재 기술 투자해야

이미지 확대
김경민 한양대 명예교수
김경민 한양대 명예교수
미국과 같은 초강대국도 어찌할 수 없는 아킬레스건이 소재 기술이다. 일본은 이 소재 기술을 많이 보유해 강대국의 위치에 올라섰다. 미국의 최첨단 여객기인 보잉787의 날개를 일본의 미쓰비시 회사가 만든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탄소섬유수지 분야에서 일본을 따라갈 나라가 없기 때문이다.

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탄소섬유수지로 주 날개를 가볍게 만든다. 날개가 가벼우면 항공유 소비가 줄어들어 승객과 화물 유치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된다. 보잉 여객기 본사가 있는 미국 시애틀에서 자동차로 두 시간 내려가면 프레드릭슨이라는 공장이 있다. 예전에 물레에서 실을 자아내듯 탄소섬유수지의 실을 감아 돌리며 날개에 들어가는 패널을 만들고 있는 과정을 보고 온 적이 있다.

보잉787의 주 날개를 미쓰비시가 만든다 하여 일본의 아사히신문은 아예 ‘메이드 인 재팬’(Made in Japan)이라고 할 정도로 과도한 칭송을 하기도 했다. 동체까지도 탄소섬유수지가 많이 사용되다 보니 비행기의 절반은 일본이 생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게 아사히신문의 논리였다.

한국도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기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고 이차전지 분야 200조원 세계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한국은 반도체, 휴대폰, 조선, 철강 등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했지만 소부장 산업은 일본, 미국에 늘 밀렸다. 그래도 배터리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니 그나마 위안이 된다.

강대국 미국이 일본을 강대국 대열에 끼워 넣은 사례는 무기 체계에서도 돋보인다.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했던 걸프전쟁에서 우리는 인류 최초로 F-117A라는 스텔스 전폭기를 보았다. 이라크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전폭기는 까만색이었는데 일본의 전파흡수 페인트가 칠해져 있어 전쟁 초기에 이라크의 주요 지휘시설을 모두 파괴해 승전할 수 있었다.

일본의 독보적인 갈륨비소 반도체도 마찬가지다.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적의 시설을 공격하는 대륙간탄도탄(ICBM)의 정확성도 일본의 특수 반도체 덕분이다. 이 내용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교수였던 켄트 콜더 박사의 논문에 실려 있다.

걸프전쟁이 끝나자 육지에 지뢰가 깔려 있듯이 바다에 기뢰가 둥둥 떠다녔다. 이 기뢰 제거를 미국은 일본에 맡겼다. 바다에 기뢰를 설치하는 것이나 제거하는 기술은 일본이 세계 최고다. 무기 체계에도 일본의 기뢰 기술처럼 아킬레스건 같은 기술이 있어야 강대국 지위에서 소통할 수 있는 것이다.

지난 정권에서 한일 관계가 최악이었을 때 반도체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물질에 대해 일본이 수출을 규제하는 바람에 한국이 곤경에 처한 적이 있다. 소부장 기술의 자주 개발 없이는 국가가 곤경에 처한다는 사실을 크게 체험한 것만 해도 다행스러운 일일 것이다.

세계 무역량에서 10위 안팎인 한국이 기초과학에 지속적인 투자를 해서 소부장 기술을 확립하는 것만이 살길이라는 현실을 직시하고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소재 기술 세계 1위의 자리를 넘봐야 할 때다.

국토의 크기가 큰 나라도 아니고 천연자원이 많은 나라도 아니다. 인재만이 유일한 재산인데 소부장 기술 때문에 아무것도 못 하는 신세는 절대적으로 피해야 한다.

한국을 힘들게 했던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포토레지스트는 일본 기업이 전 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정밀화학 분야에 100년 가까운 시간을 투자한 결과물이다. 역사적으로 크게 시련을 겪어 본 한국이기에 소부장 기술을 축적하는 데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2023-10-26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