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아파트 부실 ‘0’… LH는 또 철근 누락

민간 아파트 부실 ‘0’… LH는 또 철근 누락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3-10-24 00:13
업데이트 2023-10-24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량판 아파트 427곳 ‘순살’ 없어
LH, 2곳 추가 발견돼 23곳으로
“전관 카르텔 등 관리 소홀 원인”

이미지 확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아파트 2개 단지에서 철근 누락이 추가 발견됐다. 지하주차장이 붕괴된 인천 검단 아파트를 포함해 총 23곳에서 부실시공이 확인됐다. 이와 달리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민간 아파트 총 427곳에선 철근 누락이나 콘크리트 강도 미흡 등 부실시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LH는 최초 긴급안전점검에서 누락된 자체 시행단지 11곳과 민간참여 사업단지 19곳 등 30개 단지를 추가 점검한 결과 2개 단지에서 철근 누락이 발견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달 입주가 예정된 의왕초평 A3단지(981가구)와 현재 공사 중인 화성비봉 A3단지(988가구)의 부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의왕초평 A3단지는 시공 과정에서 단순 누락으로 기둥 918개 중 46개가 들어가지 않았다. 화성비봉 A3단지는 구조계산 및 도면표기 누락으로 기둥 921개 중에 28개가 빠졌다.

반면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민간 아파트 총 427개 단지에선 부실시공이 전무했다는 게 국토교통부가 이날 발표한 전수조사의 결론이다. 설계도서 검토에서 시공 중인 현장 1개소의 전단보강근 누락이 발견됐으나 착공에 들어가지 않은 상황이라 선제적으로 설계 보완 조치를 끝냈다. 준공된 아파트에선 전단보강근 누락이 없었다. 시공 및 준공 단지 현장점검에서도 철근 누락이 발견되지 않았다.

유독 LH가 발주한 아파트에서만 철근 누락이 발견되면서 이른바 ‘순살’ 원인이 LH의 역량 부족인 것으로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정부는 LH가 비용 부담이 적지만 관리가 철저해야 하는 자체 특허 시공법을 사용하면서도 ‘전관 카르텔’ 등으로 관리 책임을 소홀히 한 게 LH에서만 철근 누락이 쏟아진 이유라고 추정했다.

세종 옥성구 기자
2023-10-24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