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어딜 가나 강경파들은…/임병선 국제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어딜 가나 강경파들은…/임병선 국제부 선임기자

임병선 기자
입력 2023-10-20 01:09
업데이트 2023-10-20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병선 국제부 선임기자
임병선 국제부 선임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짧은 이스라엘 방문을 마쳤다. 하마스와의 무력충돌에 뾰족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중재 노력조차 기울이지 못한 채 가자지구의 인도적 위기에 숨통만 열어 줬다.

그가 중재자로 역할할 수 있는지 의문을 품어 왔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유대인 정착촌 확대를 밀어붙였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의회를 점거한 유대인 진보단체들이 반대할 정도로 유대인들도 정착촌 확대 드라이브가 몰고 올 후폭풍을 경계해 왔다.

하지만 그가 재집권하는 데 큰 힘을 실어 준 시오니즘을 맹신하는 강경 우파, 내각에 들어온 장관들은 시온의 영토에 한 명의 팔레스타인 사람도 남아 있지 않도록 하겠다는 듯 정착촌 확대를 밀어붙였다. 가자와 요르단강 서안지구를 완벽하게 봉쇄해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사실상 떠날 것을 강요했다.

그런 네타냐후와 강경 우파들을 바이든 대통령은 방관했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중재자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에 요구할 수 있는 것은 “분노하되 과도하게 휩쓸리지 말라”는 주문 정도였다. 전례 없는 안보지원을 이스라엘에 약속하며 팔레스타인에는 생색내듯 인도적 지원 1억 달러를 안겨 줄 뿐이었다.

오히려 그가 네타냐후 총리에게 강경 우파와의 관계를 끊고 정착촌 확대 중단이나 자제, 인도적인 차원에서 봉쇄 정책을 풀라고 설득해 냄으로써 하마스가 억류한 인질들을 팔레스타인 수감자들과 교환하고, 양측의 온건 지도부가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도록 테이블에 앉히는 것이 올바른 해법이었는데 난망한 일이었다.

바이든 행정부가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를 개선시키는 떠들썩한 이벤트로 대선 재도전에 도움이 되는 손쉬운 길을 선택, 하마스를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아 오늘의 참화를 낳았다는 것이 기자의 생각이다. 하마스의 잔인한 기습공격과 인질 납치 등을 두둔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문제의 본질은 정확히 알자는 것이다.세상 어딜 가나 강경한 이들이 있고, 그들 목소리에 휩쓸리는 일이 적지 않다. 예루살렘에서도, 가자시티에서도, 이곳 한반도에서도 그렇다.

기자에게 뜨악했던 일은 하마스의 기습공격 같은 일이 우리에게 벌어지지 않는다는 법이 없다며 남북의 군사적 적대행위 중단을 골자로 한 9·19 남북군사합의를 파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움직임을 그저 멀뚱히 쳐다만 보는 일이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극단 세력들이 어떻게 이웃과 중동지역의 평화를 위험에 빠뜨리고 양측 민간인들의 안정을 해치고 훼손하는지 제대로 따져보지 않고, 이스라엘의 정보 수집 실패가 9·19 군사합의 장치 탓에 우리에게도 재현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는 식으로 논리를 비약했다.

하마스 같은 극단 세력이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밀착을 핑계 삼아 기습공격에 나선 것처럼 우리 국민들의 안보 불안을 자양분 삼아 우리 안의 강경파들은 남북이 어렵게 만들어 놓은 군사적 충돌 방지 장치를 제거하려 들고 있다. 이스라엘 국민들이 강경파들의 행동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한대가를 어떻게 치르는지 두 눈으로 보면서 이런 엉뚱한 논리 비약을 하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문제를 극단적으로 바라보고 맹목적으로 행동하는 이들을 제어하는 일은 모두의 책무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력 충돌의 역사적 원인과 최근의 변화된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남북이 어렵게 마련한 충돌 방지 장치의 유효성을 조금 더 차분하고 포괄적으로 따지며, 우려하는 목소리에도 귀기울였으면 한다.
임병선 국제부 선임기자
2023-10-20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