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지검입니다”... 검경 등 사칭 보이스피싱 1년 새 2배 늘어

“OO지검입니다”... 검경 등 사칭 보이스피싱 1년 새 2배 늘어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입력 2023-10-16 16:58
업데이트 2023-10-16 16: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보이스피싱 이미지. 서울신문DB
보이스피싱 이미지. 서울신문DB
지인이나 가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은 감소한 반면 검찰, 경찰, 법원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은 크게 늘었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발생한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2056건에 이른다. 피해 액수는 343억원에 달했다.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의 증가세는 뚜렷하다. 2021년 912건(피해액 171억원)에 그쳤던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지난해 1310건(피해액 213억원)으로 부쩍 늘었다. 올해 2056건이 7월까지 통계임을 감안하면 연말 기준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규모는 지난해의 2배에 이를 전망이다.

2018년부터 올 7월까지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총 2만 550건 발생해 4143억원의 피해를 안겼다. 이 중에 검찰, 경찰, 법원을 사칭한 범죄가 1만 6008건으로 가장 많았다. 10건 중 8건(77.9%) 가까이가 사법기관 행세를 한 것이다. 피해액도 34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사칭 범행이 1781건(554억원)으로 두 번째였다.

지난 6년간 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금 중 환급액은 1242억원으로 환급 비중은 30%에 불과했다. 특히 피해자가 돌려받은 돈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환급 비중은 64.5%, 환급액은 267억원이었는데 2021년에는 25.1%, 43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는 13.3%, 28억원으로 더 줄었다.

지인 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줄어드는 추세다. 올 상반기 지인 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32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16억원보다 줄었다.

강 의원은 “금감원은 그간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소비자경보 발령 등 단순 홍보에만 집중해왔다. 기존의 홍보에서 탈피해 TV 공익광고나 다양한 방송에 소개하는 등의 홍보 방안을 강구해야한다”고 말했다.
유규상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