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외래어 남용으로 씁쓸한 한글날 [포토多이슈]

외래어 남용으로 씁쓸한 한글날 [포토多이슈]

도준석 기자
도준석 기자
입력 2023-10-09 17:17
업데이트 2023-10-09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토多이슈] 사진으로 다양한 이슈를 짚어보는 서울신문 멀티미디어부 연재물

9일 577돌 한글날을 맞았지만 외국어와 외래어가 남용되고 있다는 지적은 계속되고 있다.

전국에 상가 간판에 수많은 외국어와 외래어 표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영문 표기가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에겐 소통을 막는 장벽이 되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중구 명동에 외국어 간판이 걸려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중구 명동에 외국어 간판이 걸려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우리말로 된 간판을 사용하는 곳은 개인 병원에 자신의 이름이나 출신 대학교를 표기하는 병원이나 약국, 한식당 등 2~3곳에 불과했다. 식당이나 카페는 영어나 일어 표기가 많았다.
이미지 확대
한글날인 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의 한 건물에 외래어 간판이 걸려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한글날인 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의 한 건물에 외래어 간판이 걸려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국내 최대 지하 쇼핑몰인 서울 강남 삼성동 코엑스몰에 대부분의 간판도 외국어로 표기됐다.
이미지 확대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에 외국어를 한국어로 표기한 안내지도가 걸려있다. 코엑스몰 지하 1층 매장 278곳 중에 외국어로만 표기된 매장 간판이 177개나 됐다. 2023.10.9 도준석 기자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에 외국어를 한국어로 표기한 안내지도가 걸려있다. 코엑스몰 지하 1층 매장 278곳 중에 외국어로만 표기된 매장 간판이 177개나 됐다. 2023.10.9 도준석 기자
지하 1층 매장 278곳 중에 외국어로만 표기된 매장 간판이 177개나 됐다.
이미지 확대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에 외국어 간판이 걸려있다. 코엑스몰 지하 1층 매장 278곳 중에 외국어로만 표기된 매장 간판이 177개나 됐다. 2023.10.9 도준석 기자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에 외국어 간판이 걸려있다. 코엑스몰 지하 1층 매장 278곳 중에 외국어로만 표기된 매장 간판이 177개나 됐다. 2023.10.9 도준석 기자
한글을 영어로 표기할 때 모호한 표현으로 다른 동물을 연상시키는 홍보물도 보였다.
이미지 확대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중구 명동에 한 빌딩에 걸린 한글과 영문이 불일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중구 명동에 한 빌딩에 걸린 한글과 영문이 불일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하지만 순수한 우리말을 사용하는 매장도 찾아볼수 있었다.

신촌에 한 꽃가게는 ‘나를 위한 꽃’ 이라는 간판으로 시선을 머물게 했다.
이미지 확대
한글날인 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 한글 간판이 걸려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한글날인 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 한글 간판이 걸려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서울 명동에 한 노점은 아름다운 우리말을 새긴 모자를 판매해 지나가는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명동에서 단지 두군데 뿐이지만 노점상 사장은 한글에 대한 사랑으로 꾸준이 한글 모자를 판매한다.
이미지 확대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중구 명동 노점상에 한글이 새겨진 모자가 진열되어 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577돌 한글날인 9일 서울 중구 명동 노점상에 한글이 새겨진 모자가 진열되어 있다. 2023.10.9 도준석 기자
한류의 영향으로 전 세계의 시선이 한국으로 집중되는 갖는 지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이 한국의 거리도 별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을 갖게 하기보단 아름다운 한국어에 다시 한번 감동하고 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으로 한글의 장점을 알릴 수 있길 바란다.

도준석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