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이란 혁명수비대 장교들, 하마스 공격 회의에 참석...지난주 계획 승인”

WSJ “이란 혁명수비대 장교들, 하마스 공격 회의에 참석...지난주 계획 승인”

임병선 기자
입력 2023-10-09 07:52
업데이트 2023-10-09 0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스라엘 남부 네티봇에서 8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날아오는 로켓을 요격하기 위해 저고도 미사일 방어망 아이언 돔을 뚫고 미사일 한 발이 발사되고 있다. 네티봇 AFP 연합뉴스
이스라엘 남부 네티봇에서 8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날아오는 로켓을 요격하기 위해 저고도 미사일 방어망 아이언 돔을 뚫고 미사일 한 발이 발사되고 있다.
네티봇 AFP 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 공격을 계획하는 데 이란 안보 당국자들이 도움을 줬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하마스와 헤즈볼라, 그 밖에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단체 소속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한 것이다.

이란은 지난 2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지난 7일 이뤄진 하마스의 대규모 공격 작전을 승인했다고 이 매체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무장단체 관계자는 이란혁명수비대(IRGC) 장교들이 지난 8월부터 하마스와 협력하며 지상과 해상, 공중으로 이스라엘을 급습하는 방안을 고안해 왔다고 전했다.

작전 세부 사항은 여러 차례에 걸친 베이루트 회의를 거쳐 개선됐는데, 이들 회의에는 이란혁명수비대 장교는 물론 이란이 지원하는 4개 무장단체 대표가 참석했다고 한다. 이들 4개 무장단체에는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하마스와 레바논의 무장 정파 헤즈볼라가 포함됐다. 이슬람 시아파 맹주인 이란은 같은 시아파인 헤즈볼라를 오랫동안 지원해왔다.

이란과 하마스, 헤즈볼라의 고위 간부들은 이란혁명수비대가 이스라엘을 사방에서 위협할 수 있는 다중전선을 구축하는 것을 계획으로 세우고 있다고 WSJ에 전했다. WSJ의 이 같은 보도와 달리 미국 정부와 이란, 하마스는 이란이 이번 공격에 직접 개입했다는 점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은 상태다.

미국 정부는 이란이 이번 하마스의 공격에 직접적으로 개입한 증거는 가지지 못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이날 방송 인터뷰에서 이란이 이번 공격을 지시했거나 배후에 있다는 증거를 보지 못했지만, 이란이 오랜 기간 하마스를 지원해왔다고도 설명했다.

하마스의 고위 간부 마무드 미르다위는 이스라엘 공격에 대해 WSJ에 “팔레스타인과 하마스의 결정에 의한 것”이라며 하마스가 자체 계획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유엔 주재 이란대표부는 WSJ의 확인 요청에 답변하지 않았다. 다만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은 이날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을 지지한다고 밝히며, 이번 분쟁의 책임이 이스라엘과 그 지지자들에게 있다고 비난했다.

이스라엘은 이란이 이번 사태에 직접 개입했다는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지만, 이란이 이번 하마스 공격의 배후에 있음을 공공연하게 지목하고 있다. 길라드 에르단 유엔 주재 이스라엘 대사는 이날 회견에서 “우리는 시리아와 레바논에서 (이란이) 이스라엘을 둘러싼 다른 테러 군사조직 리더들과 회의한 사실을 알고 있다”며 “우리 지역의 이란 대리인들은 이란과 최대한 협업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란이 헤즈볼라와 함께 하마스의 기습 공격을 지원한 사실을 밝혀내면 낼 수록 세계 최고의 정보력을 자랑하던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의 실책과 저고도 방어망 ‘아이언 돔’이 무력함을 드러내는 딜레마도 이스라엘은 안고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