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평]중국과 공존하려면...아세안으로부터 배워라

[서평]중국과 공존하려면...아세안으로부터 배워라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23-10-05 16:16
업데이트 2023-10-05 1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이선진 전 대사가 쓴 ‘중국과 공존하는 아세안의 지혜’를 읽고
‘집단외교’ ‘지역통합’ ‘균형외교’ 핵심전략으로 미중 사이 지혜 발휘...한국이 배울 점 많아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한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30여년의 외교현장을 거친 후 10년간 서강대와 서울대에서 강의한 이선진 전 인도네시아 대사가 ‘중국과 공존하는 아세안의 지혜’(박영사)라는 책을 내놓았다.

이미지 확대
중국과 공존하는 아세안의 지혜
중국과 공존하는 아세안의 지혜 중국과 공존하는 아세안의 지혜
(이선진 전 인도네시아 대사 지음, 박영사)


저자는 미국, 일본, 중국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를 보는 시각을 다듬었고, 인도네시아 주재 대사로서 중국의 부상을 소화하는 아세안의 지혜를 접했다. 대학에서 강의하는 동안 20여 차례 아세안·중국 국경 지역을 다니면서 중국의 부상에 대한 아세안의 대응전략을 현장 체험했다. 이 책은 저자가 인도네시아 부임 후 17년에 걸쳐 아세안을 집중 관찰한 결과물이다.

저자는 아세안의 핵심 전략을 세 가지로 본다. 첫째, 집단외교다. 10개 회원국이 결집해 공동 대응하거나, 아니면 중국을 지역의 다자적 협력의 속에 가두는 것이다. ‘아세안+3’나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같은 틀이다. 아세안이 주도하고 우리 대통령도 매년 참석한다. 둘째, 자기의 힘을 키우는 것이다. 회원국 사이 장벽을 허물고 지역통합을 이뤄 높은 경제성장을 이뤘다. 개혁개방으로 외국투자를 받아들였다. 중국도, 미국도 함부로 할 수 없는 경제력을 가지게 됐다. 셋째, 균형외교다. 미중 어느 편을 견제하기 위해 다른 편과 연합하지 않는다.

동남아에서 미중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아세안의 최대 교역 상대는 중국이고 아세안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지리적 중심에 있다. 남중국해는 미 중 군사 경쟁의 ‘화약고’다. 아세안은 다른 어떤 국가보다 우리가 비교 검토할 요소를 많이 갖고 있다. 동아시아 전체의 불안정을 억제하기 위한 목소리를 공유할 여지가 큰 대상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에서 저자는 2015년 공동체로 공식 발족한 이래 통합의 중추를 이루는 ‘아세안 중심주의’, 미중 간 ‘대립’보다는 ‘경쟁’으로 유도하려는 아세안의 전략, 아세안의 분열을 노리는 중국과 미국의 행동에 관해 자세히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아세안의 향후 진로에 대해 미국이 고도기술 분야에서 중국을 견제하자 아세안이 중국 대체 지역을 찾는 서방의 반도체 투자를 대규모로 유치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미중 경쟁의 피해자가 아니라 새로운 성장 동력을 얻는 수혜자로 전환하는 지혜가 돋보인다.

이 책은 주로 한국의 창을 통해 세계를 보는데 익숙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에서 세계를 보는 눈을 열고, 아세안에 대한 이미지도 바꾸도록 도와줄 것이다. 아세안은 2022년 한국의 최대 무역 흑자 상대이고, 1만 7000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 2000년대 초만 해도 아세안 10개국의 경제 규모(GDP)는 한국과 비슷했으나 지금은 한국의 두 배가 될 만큼 성장 속도가 빠르다.

저자는 아세안이 앞으로 10년 후면 질적으로도 한국을 넘어설 가능성 있다고 본다. 이 책은 정부의 정책입안이나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 질 높은 자양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300쪽, 2만원.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김미경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