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수류탄 파편 뽑아준 간호사 사지 탈출하자 품어준 병사 어머니

3년 전 수류탄 파편 뽑아준 간호사 사지 탈출하자 품어준 병사 어머니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9-28 17:38
업데이트 2023-09-28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계 주민 절반 가까이 떠나와
국경 마을 등에 “형제자매 도우러 달려왔다” 동포애

이미지 확대
급히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빠져나온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챙길 수 있는 가재도구들을 차량에 가득 실어 떠나왔다. 27일(현지시간)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을 잇는 유일한 통로인 라츤 회랑의 들머리 역할을 하는 국경 마을 고리스에서 포착된 한 피란민 가족의 차량 모습이다. 고리스 EPA 연합뉴스
급히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빠져나온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챙길 수 있는 가재도구들을 차량에 가득 실어 떠나왔다. 27일(현지시간)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을 잇는 유일한 통로인 라츤 회랑의 들머리 역할을 하는 국경 마을 고리스에서 포착된 한 피란민 가족의 차량 모습이다.
고리스 EPA 연합뉴스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의 중심 도시 스테파나커르트 외곽 마을의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던 타마라는 지난 19일 아제르바이잔군의 포격에 다친 자치세력 군인들을 치료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그녀는 “무서웠다. 부상자가 많았다. 화상 입은 사람도 있었다. 사람들은 실종된 이들을 찾아 헤맸다. 아이들을 찾지 못한 사람도 있었다. 충격적이었고 견딜 수가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자치세력의 군대가 무장을 해제하면 현지 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타마라는 그들의 약속을 믿는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아 떠나기로 마음먹었다. 해서 아제르바이잔이 열 달 만에 라츤 회랑 봉쇄를 풀자마자 옛 소련제 소형 지프에 가재도구를 잔뜩 싣고 국경을 넘는 길고긴 차량 행렬에 가담했다.

국경을 넘으며 3년 전 전쟁 때 자신이 치료해준 아르메니아 병사가 기억 나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녀는 이제 고리스란 국경 도시에서 그 병사의 가족과 함께 머무르고 있다. 그 병사의 가족은 빚을 갚을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타마라는 “여기까지 오기 정말 힘들었다. 무서웠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기도했다. 진심 기도했고…하느님이 우리를 도와주셨다”고 말했다.

당시 징집에 동원됐던 그 병사는 수도 예레반에 살고 있다. 그의 어머니는 고리스에 사는데 기꺼이 타마라를 집에 들였다. 그의 어머니는 수류탄 파편이 머리에 박힌 아들이 타마라 등의 돌봄 덕분에 신체적으로는 완전히 나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전쟁 때 또래 병사들이 겪은 일들을 봤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힘겨워 한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빠져나온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을 가득 태운 트럭이 27일(현지시간) 아르메니아의 국경 마을인 코르니조르에 도착하고 있다. 코르니조르 로이터 연합뉴스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빠져나온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을 가득 태운 트럭이 27일(현지시간) 아르메니아의 국경 마을인 코르니조르에 도착하고 있다.
코르니조르 로이터 연합뉴스
타마라를 보겠다며 국경으로 달려온 병사처럼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탈출한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5만명 이상으로 불어나 전체 12만명의 절반 가까이가 되면서 형제자매 같은 이들을 돕겠다며 달려오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고리스 당국은 중심가 영화관에 난민 지원 센터를 설치, 밀려드는 난민을 맞이하며 숙소 등 등록을 접수했다. 난민 수가 많아지자 일부 가족은 등록 절차를 기다리며 차 안에서 잠을 자기도 했다. 그러자 현지 호텔들은 난민들에게 객실을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했고, 곧 객실이 모두 찼다고 BBC는 전했다.

정식 숙소를 찾을 때까지 고리스에 있는 학교를 난민들 숙소로 바꾸자는 제안도 나왔다. 고리스뿐 아니라 아르메니아 전역에서 소셜미디어에 난민들에게 숙소를 제공한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고리스의 메인 광장에는 난민들을 위한 음식 텐트와 구호 물품 등이 비치됐다. 제공되는 식량 중 일부는 지역 당국이 제공했고, 상당수는 기부된 것이었다. 이곳에서 과일을 자르고 커피를 나눠주는 10대 소녀 마리아는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고 돕고 싶었다”며 “계속 사람들이 도착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라바흐 산지를 넘어오는 난민들의 차량 행렬이 이어지자 아르메니아인들은 길가에 서 있다가 차창 너머로 샌드위치와 음료를 건네기도 했다.

보금자리를 버리고 피란 길에 오른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모든 것을 잃은 기분이라고 전했다. 가족과 함께 카라바흐를 떠난 스베타라는 60대 여성은 “울음이 그치지 않는다. 우리는 모든 것을 남겨두고 왔다”며 “집 네 채, 모든 것을 두고 왔다”고 호소했다. 스베타 가족에게 누군가 4시간 거리에 있는 숙소를 찾아줬지만, 이미 거의 이틀을 꼬박 이동한 탓에 가족은 너무 지쳐 있었다.

요양시설에 머무르다 사지를 탈출한 어르신들을 다른 지방으로 옮기는 버스편을 알아보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이들도 있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