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팬데믹 잦아들자 … 홀로 살아남기 ‘고독한 행복’ 시대로

팬데믹 잦아들자 … 홀로 살아남기 ‘고독한 행복’ 시대로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9-18 23:54
업데이트 2023-09-18 2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통합도 4.6→4.3으로 하락
삶만족도 5.9→6.3으로 높아져

코로나19 유행이 잦아들고 일상 회복이 시작된 지난해 국민 행복 점수는 코로나19 발생 전보다 올라갔으나 사회통합도는 하락하고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각자도생 속의 ‘고독한 행복’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8일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인식 변화’ 보고서에서 지난해 삶의 만족도가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은 6.2점(10점 만점), 코로나19 유행이 한창이던 2021년은 5.9점, 지난해는 6.3점이었다. 행복도 역시 2019년 6.5점에서 2021년 6.3점으로 하락했다가 지난해 6.6점을 기록했다. 특히 사회·경제적 활동이 활발해진 20~30대의 행복도(6.9점)가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반면 전반적인 사회통합도는 2019년 4.2점에서 2021년 4.6점으로 올랐다가 지난해 4.3점으로 주저앉았다. 위기 상황일 때보다 결속력이 약화됐다. 자신의 경제적 위치가 중상층·상층이라고 답한 이들이 느낀 사회통합도(2021년·2022년 4.7점)는 변화가 없었으나, 중간층과 하층이 판단한 사회통합도는 2021년보다 0.3점 하락했다.

연구원은 “2022년 대통령 선거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치르며 2021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사회통합을 끌어내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아플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응답도 2021년보다 10% 포인트가량 하락했다. 2021년에는 78.5%였는데, 지난해는 68.0%였다. 상용직은 2021년과 비교해 큰 변화가 없었지만, 임시일용직은 ‘있다’라는 답변율이 2021년 73.7%에서 2022년 55.2%로 18.5% 포인트 떨어졌고, 실업자도 같은 기간 77.1%에서 57.5%로 19.6% 포인트 하락했다. 가구 경제 상황에 대해서도 주관적 경제 수준이 낮은 계층일수록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에 비해 삶의 행복도와 만족도는 상승했으나 사회통합도와 지지도 등 사회 구성원으로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는 모두 악화한 것이다.

보고서는 “개인의 심리적 회복이 점차 이뤄지고 있으나, 이는 사회통합을 높이는 방향이 아니라 개개인의 고립된 방식의 회복”이라며 “코로나 이후 사회 불평등이 심화하고 고착화하고 있어 이를 완화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6~8월 19세 이상 성인 3944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이현정 기자
2023-09-1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