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천 할머니를 기억하겠습니다… 4·3의 비극을 잊지않겠습니다

무명천 할머니를 기억하겠습니다… 4·3의 비극을 잊지않겠습니다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3-09-05 15:09
업데이트 2023-09-05 15: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3의 비극으로 턱에 총탄 맞아
55년 눈물을 삼키며 살다 떠나
9일 월령리 해변에서 추모문화제
삶터보존회 이야기 전시·평화기행

이미지 확대
제주시 한림읍 월령이 진아영 할머니의 8평 남짓한 삶터 내외부의 모습. 제주관광공사 제공
제주시 한림읍 월령이 진아영 할머니의 8평 남짓한 삶터 내외부의 모습. 제주관광공사 제공
제주4·3의 비극으로 아래 턱에 총탄을 맞아 평생을 무명천으로 턱을 가리고 눈물을 삼키며 살았던 고 진아영 할머니(1914∼2004년)의 삶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문화제가 열린다.

제주시 한림읍 선인장마을 월령리 마을회와 무명천 진아영 할머니 삶터 보존회는 진아영 할머니 19주기를 맞아 오는 9일 월령리 해변공연장에서 추모문화제를 연다고 5일 밝혔다.

무명천 진아영 할머니는 4·3당시 고향 판포리의 오빠 집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던 순박하고 평범한 서른 다섯의 아낙이었다. 집 앞에서 군경토벌대가 무장대로 오인해 발사한 총탄에 턱을 맞았지만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 무명천 할머니로 더 알려진 고인은 턱을 가린 채 말을 할 수도 없고 음식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55년의 외롭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오다 2004년 9월 8일 한 많은 세상과 작별했다.

2017년 ‘무명천 진아영 할머니 삶터 보존회’가 설립돼 할머니가 살던 8평 남짓한 한림읍 월령리 자택은 2018년 삶터로 개소됐다. 그러나 민간 차원의 관리가 힘들어지면서 제주도가 후손들의 뜻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삶터 보존 의지에 따라 기부채납을 받았다.

이번 추모문화제에 앞서 4·3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삶터를 제주도에 기부한 후손들의 뜻을 기리는 표석 제막식도 열린다. 삶터보존회 15년간 활동과 할머니를 기억하기 위한 이들의 이야기가 전시된다. 추모문화는 유튜브로 생중계될 예정이다.

한편 월령리 일대에서는 평화기행이 준비됐다. 무명천 할머니의 삶터를 시작으로 선인장 자생지, 월령리 해안길, 식물원 등지를 걷는 코스로, 선착순 40명 모집이다.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