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계 3대 창업대국, 기술인력 없인 공염불이다

[사설] 세계 3대 창업대국, 기술인력 없인 공염불이다

입력 2023-09-01 01:36
업데이트 2023-09-01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스타트업 코리아 전략회의에서 발언하는 윤 대통령
스타트업 코리아 전략회의에서 발언하는 윤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스타트업 코리아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현재 1개뿐인 글로벌 100대 유니콘을 2027년까지 5개로 늘리고 벤처투자 확대 등을 통해 대한민국을 아시아 일등, 세계 3대 글로벌 창업대국으로 도약시킨다는 정부의 중장기 스타트업 육성 전략이 나왔다. 그제 청와대에서 열린 ‘스타트업 코리아전략회의’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밝힌 내용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스타트업 생태계를 민간 중심, 시장 중심으로 과감하게 바꿔 나가야 된다”고 주문했다. 청년들이 자유롭게 창업하고 나라 밖 혁신가들과도 힘을 합치는 등 마음껏 도전하도록 정부가 지원군 역할을 하겠다니 반갑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내국인의 국내 창업에 국한하던 정책 지원을 해외에서 창업하는 한국인, 외국인이 국내에 설립한 법인으로까지 확대하는 등 창업 벤처 생태계의 세계화를 지향한다. 민관이 공동으로 조성한 1조원 규모의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2027년까지 2조원 규모로 늘려 글로벌·초격차·세컨더리(회수) 등의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방안도 있다. 수도권에 비해 소외된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방 스페이스 케이(K)라는 스타트업 파크 사업도 진행한다.

세계 3대 창업 국가로 도약하려면 자본과 인재 확보 등이 전제돼야 한다. 스타트업은 아직 해보지 않아 성공 가능성을 확신하기 어려운 게 특성이다. 그만큼 스타트업 코리아펀드 확대와 더불어 운영 방안에 대한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 특히 우수한 기술인력 확보가 관건이다. 2027년까지 인공지능(AI) 분야 1만 2800명, 클라우드 1만 8800명의 인력이 부족하다고 한다. 이러한 신기술 분야의 우수 인재를 확보해야 경제 규모를 키울 수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수요가 많은 업종이라면 외국인 전문인력 비자발급 요건도 완화해야 한다.
2023-09-0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