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월대 복원 화룡점정 ‘서수상’ 돌아왔다

광화문 월대 복원 화룡점정 ‘서수상’ 돌아왔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8-30 02:08
업데이트 2023-08-30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도 앞 장식… 호암미술관서 찾아
시민 제보로 3D 스캔 통해 확인
상태 양호… 보존처리 후 제자리로

故 이건희 회장 유족 측 기증 결정
“태평성대 상징하거나 기원 동물”

이미지 확대
광화문 월대 앞 지켰던 ‘서수상’ 찾았다
광화문 월대 앞 지켰던 ‘서수상’ 찾았다 29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광화문 월대 앞 서수상(상서로운 동물상)이 공개됐다. 과거 사진 자료를 통해 월대 가장 앞부분의 조각으로 파악됐던 서수상 2점은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 있던 것으로, 3D 스캔을 통해 월대 앞 서수상이라는 걸 확인한 뒤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유족 측이 기증을 결정했다. 오는 10월 월대 복원 공사가 끝나면 원래 자리에서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류재민 기자
유튜브에 영상이 올라왔고 이를 본 국민이 제보한 뒤에 문화재청이 3D 스캔을 통해 원본이라는 걸 확인했다. 이 시대의 방식으로 광화문 월대 서수상(상서로운 동물상)이 제자리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29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광화문 월대 어도(임금이 다니는 길)의 가장 앞부분을 장식하던 서수상을 공개했다. 이 서수상은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 있었던 것을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유족 측이 기증하기로 결정하면서 경복궁으로 이사했다.

김민규 문화재청 전문위원은 “서수상은 국왕이 올바른 정치를 펼쳤을 때 나타나는 동물로 태평성대를 상징하거나 기원하는 뜻이 있다”면서 “생김새를 해치로 볼 수 있는데 해치는 시비(옳고 그름)를 구분할 수 있는 동물이기도 하고 남쪽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경복궁 근정전의 서수상은 뿔이 2개 있고 목에는 갈기털이 없는데 이번에 돌아온 서수상은 뿔 1개에 목에는 갈기털이 있는 형태다.
이미지 확대
과거 사진 자료를 통해 월대 가장 앞부분의 조각(작은 사진 원)으로 파악됐던 서수상 2점은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 있던 것으로, 3D 스캔을 통해 월대 앞 서수상이라는 걸 확인한 뒤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유족 측이 기증을 결정했다. 오는 10월 월대 복원 공사가 끝나면 원래 자리에서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과거 사진 자료를 통해 월대 가장 앞부분의 조각(작은 사진 원)으로 파악됐던 서수상 2점은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 있던 것으로, 3D 스캔을 통해 월대 앞 서수상이라는 걸 확인한 뒤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유족 측이 기증을 결정했다. 오는 10월 월대 복원 공사가 끝나면 원래 자리에서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어쩌다 유출됐는지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서수상들은 역사에 관심 있던 이들에게 알음알음 소문이 퍼져 있었다. 그러다 한 유튜버가 호암미술관에 있는 서수상 촬영 영상을 공유하고 이를 본 제보자가 지난 3월 문화재청에 알리면서 조사가 이뤄지게 됐다.

과거 사진자료 등으로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었지만 3D 스캔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서수상을 세울 때 흔들리지 않도록 받침돌을 발 모양대로 만들었는데 3D 스캔을 통해 확인한 결과 모양이 정확하게 일치해 확신할 수 있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청 측이 월대 앞 서수상이라고 소개하자 이 선대회장 유족 측은 곧바로 기증을 결심했다.

김 전문위원은 “월대를 복원하면 서수상을 다시 조각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 기증으로 월대 복원 화룡점정을 찍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수상 2점은 조각상의 파괴된 부분 없이 양호한 상태로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월대 앞 본래의 자리로 돌아갈 예정이다.

류재민 기자
2023-08-30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