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페스트, 중국·몽골에 재등장…방역 당국 “오늘부터 방역 강화”

페스트, 중국·몽골에 재등장…방역 당국 “오늘부터 방역 강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8-29 11:25
업데이트 2023-08-29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몽골서 환자 5명 발생
전원이 림프절 페스트, 전파 가능성 낮아
질병관리청, 29일부터 검역 강화
의심증상자 빠른 신고 당부

페스트 발생 지역 및 현황. 서울신문 그래픽
페스트 발생 지역 및 현황. 서울신문 그래픽
페스트가 가까운 중국과 몽골에서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6~8월 중국·몽골에서 페스트 환자가 5명 발생해 몽골을 페스트 검역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29일부터 검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중국, DR콩고, 마다가스카르만 페스트 검역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발생한 페스트가 모두 림프절 페스트여서 다른 페스트에 비해 치명률이 낮고, 추가 전파 가능성도 작다고 봤다. 림프절 페스트의 치명률은 5~15%, 폐 및 패혈증 페스트는 30∼50%다. 전파되더라도 제때 항생제를 투여하면 이틀 이내로 회복한다.

국내에서 페스트 환자나 페스트균에 오염된 설치류가 확인된 적은 없으며, 중국 내몽골자치구와 인접 국가인 몽골도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했을 뿐 추가 확진자가 나오진 않았다. 다만 최근 중국·몽골 여행객이 늘고 있어 질병관리청은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해 입국 시 건강상태질문서나 큐코드(Q-CODE)로 유증상자를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림프절 페스트, 감염된 쥐벼룩 물렸을 때 발생
페스트는 페스트균으로 알려진 그람 음성 세균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 발열성 인수공통감염병(사람과 동물이 함께 걸리는 감염병)이다. 14세기에는 중국에서 시작한 유행이 유라시아 대륙으로 확산해 당시 유라시아 대륙에서 1억명 이상이 사망했다. 마지막 대유행도 1850년대 중국에서 시작됐다. 윈난에서부터 광저우까지 퍼졌고, 1894년에는 홍콩으로 확산했으며, 이후 남아프리카, 미국, 태국, 스리랑카, 인도, 유럽으로 전파돼 1900년대 초반까지 유행했다.

다행히 위생 상태가 좋아지면서 ‘유럽의 역사 지형을 바꾼 감염병’으로 불리던 페스트의 기세도 꺾였다. 지금은 의학 기술 발달로 치명률이 낮아져 중세 유럽 인구 3분의 1의 목숨을 앗아갔던 것처럼 맹위를 떨치지 못한다.

페스트는 페스트균을 가진 벼룩에게 물리거나 페스트균에 감염된 동물의 사체를 만졌을 때, 페스트에 걸린 사람의 화농성 분비물이나 비말(작은 침방울)에 접촉했을 때 감염된다. 현재 중국과 몽골에서 발생한 림프절 페스트는 주로 쥐벼룩에게 물려 감염된다. 벼룩에게 물린 자리가 붓기 시작해 림프절 부종이 발생하고, 고열과 권태감, 두통, 근육통이 함께 나타난다. 림프절 페스트는 림프절 고름 등 환자의 화농성 분비물을 직접 만지지 않는 한 사람 간에 전파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행지에서 사람 간 전파로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폐 페스트만 비말 전파 가능, 흑사병 정확한 명칭 아냐
가장 잘 전파되는 유행은 폐 페스트로, 비말 전파가 가능하며 병의 진행도 매우 빠르다. 패혈증 페스트는 림프절 페스트나 폐 페스트를 제대로 치료하지 못했을 때 발병한다. 피가 엉겨 ‘피떡’(혈전)이 생기고 모세혈관이 막혀 피부가 괴사한다. 흔히 페스트를 일컫는 ‘흑사병’(Black Death)이라는 명칭은 패혈증 페스트에 걸려 괴사로 피부가 검게 변한 환자의 모습을 보고 붙인 이름이다. 이 병의 법정 용어는 ‘페스트’다. ‘흑사병’은 정확한 명칭이 아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페스트 감염 예방을 위해 발생지역 방문 시 쥐나 쥐벼룩, 마못과 같은 야생동물(사체 포함) 접촉을 피하고, 발생지역 여행 후 7일 이내 페스트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나 보건소로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