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부산 대구 등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 출범

대한상의, 부산 대구 등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 출범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3-08-23 14:09
업데이트 2023-08-23 14: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앞줄 왼쪽 일곱번째)과 참석자들이 23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앞줄 왼쪽 일곱번째)과 참석자들이 23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김모차장은 최근 주변 수출기업이 유럽연합(EU) 원청사로부터 받은 공급망 ESG실사 요청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가 갑자기 거래 중단 통보를 받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충격을 받은 그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고객사의 ESG실사 대응에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깨닫고 도움 받을 곳을 찾아다니고 있다.

EU 등 주요 선진국발 ESG 규범화에 따라 김 차장과 같이 글로벌 공급망 내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ESG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들에게 도움을 줄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가 출범식을 가졌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중소중견 협력사의 ESG경영을 돕고자 전국 상의의 권역별 공급망 ESG지원센터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은 부산, 대구, 광주, 충남북부, 전주 등 전국 거점지역상의 26곳으로 이들을 중심으로 전국단위의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권역별 공급망 ESG 지원센터는 국내 수출 중소·중견기업 ESG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시/도 등 지자체, 유관기관 대외협력 창구, 지방 중소기업 실무자 교육 및 청년 ESG 인턴십 통한 전문인력양성, EU 공급망실사·CBAM 관련 기업애로 정책건의 창구로 지방소재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ESG경영을 적극 도울 예정이다.

대한상의가 지원센터를 구축한 것은 올해 독일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EU 수출·투자기업 중 글로벌 매출 1억5000만 유로 및 종업원수 500명 이상인 경우 공급망 내 협력업체의 인권, 환경 실사를 통해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파악·개선하고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의무가 부과되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기업이 ESG 실사대응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EU로부터 납품·거래관계가 끊어지는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판단때문이다.

주요 글로벌 기업은 이미 탄소배출이나 유해물질 관리 등을 포함한 환경과 노동인권, 준법경영, 생물다양성 등 EU 공급망실사법에 대비한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우리의 경우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역량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들이 ESG 이슈에 잘 대비하고 고객사의 공급망 ESG 실사에 따른 불이익을 입지 않도록 권역별 센터를 통해 다각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훈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