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고이자 최악이던 그때… 지금을 있게한 1990년대

최고이자 최악이던 그때… 지금을 있게한 1990년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8-04 01:02
업데이트 2023-08-04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윤여일 지음/돌베개/340쪽/1만 9000원

문화 꽃피어 K컬처 토대 된 시기
IMF 후 개인 무장사회가 되기도

이미지 확대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 PC통신, X세대, 오렌지족, 서태지와 아이들, IMF 구제금융. 이들의 공통점은 ‘1990년대’다.

1990년대는 문민정부의 등장으로 정치적 민주화가 이뤄지고 소비주의가 사회 전반을 지배했던 시기이자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났던 때다. 그렇지만 풍요의 시기는 오래가지 못하고 1997년 IMF 경제위기로 한국은 국가 부도에 직면하게 됐다.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 첫 문장처럼 1990년대는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이었다.

저자는 이렇듯 시대적 단절과 변화, 연속성이라는 특징을 모두 지닌 1990년대가 지금의 한국 사회를 만든 시기라고 단언한다. 사회학자인 저자는 호흡이 길고 넓은 안목을 지닌 사고를 만날 수 있는 계간지 등을 통해 문학, 사상, 문화, 지식인 사회, 세대론, 생태 등 열세 가지 관점에서 이 시대를 분석했다.

1990년대는 한국 영화와 대중음악 등 문화가 화려하게 꽃을 피우면서 현재 한류와 K컬처의 토대가 된 시기다. 지금처럼 10대가 대중문화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도 이때였다. 당시 패션, 음악, 영화 등을 다루는 다양한 잡지가 속속 출간됐는데 이는 잡지가 사실상 소멸한 지금과 비교했을 때 문화적으로도 풍요로운 시대였다는 방증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렇지만 1990년대 후반 IMF 구제금융 이후 신자유주의 질서가 지금까지 한국 사회 전반을 지배하면서 ‘개인이 무장해야 하는 사회’를 만들었다. IMF 구제금융은 밀레니엄 시작 전에 끝났지만 한국 사회는 여전히 IMF가 제시한 시스템 속에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책을 덮고 나면 “1990년대는 사회적 사유, 시대적 사유를 통해 미래를 얼마간 믿을 수 있었던 시대였지만 1990년대 이후는 앞을 예측할 수 없고 불길한 예감만 감도는 시대가 됐다”는 저자의 진단에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유용하 기자
2023-08-04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