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전파한 외국인, 민간 외교 디딤돌 놓다

한국어 전파한 외국인, 민간 외교 디딤돌 놓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3-07-14 00:31
업데이트 2023-07-14 09: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 저변 확대 공로 6명 표창

하지, 美 공립 중학교 과정 첫 개설
흐람초바, 벨라루스 대학 전공 열어
한국인·비한국인 이해·교류 도와

이미지 확대
민안 하지
민안 하지
“한국어를 미국 학교에서 가르치면서 달라진 건 한국인 커뮤니티와 비한국인들이 서로 더 많이 이해하고 활발히 교류한다는 점입니다.”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 교육청의 글로벌 교육 전무이사로 재직 중인 민안 하지씨는 1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해외 한국어 교육이 가져온 변화를 이렇게 밝혔다.

하지 이사는 1995년 미국 공립 중학교에 한국어 과정을 최초 개설한 창립자로, 한국어 과정이 워싱턴주 공립학교에 꾸준히 개설될 수 있도록 홍보 정책을 이끌어왔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이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하지 이사가 18년 전 처음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 계기는 워싱턴주에 자리잡은 한국인 공동체였다.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고 사업적인 교류도 많은 만큼 글로벌 시대에 소통을 이끌어 갈 학생들을 길러내야 한다고 봤다. 하지 이사는 “한국은 중요한 비즈니스 파트너이기도 하고 교류도 활발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한국인이 아닌 학생들도 주저 없이 한국인 이웃들에게 말을 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내년 신설 학교를 포함하면 한국어 수업을 듣는 중·고교생은 총 5개 학교에 1000명이 훌쩍 넘는다. 그러나 한때는 재원 부족 등을 이유로 사라질 뻔한 적도 있었다. 그때마다 하지 이사는 한국어 과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을 설득했다. 그는 “지금은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가 더 커져서 주민과 학생들의 한국어를 향한 관심도 높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하지 이사를 포함해 한국어의 해외 저변 확대에 애쓴 6명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아나스타샤 흐람초바 민스크 국립언어대 강사, 김성미 미국 뉴저지 포트리고교 교사 등이 포함됐다.

특히 흐람초바 강사는 민스크 국립언어대 한국어 전공 개설에 적극 나선 공로로 선정됐다. 2014년부터 벨라루스의 민스크 국립언어대에 한국어 강사로 재직해 온 그는 직접 학생 설문조사를 하는 등 전공 개설을 지속적으로 설득했다. 교육부는 “벨라루스 젊은이들에게 한국 역사와 문화도 알리고 있다”며 “오는 9월 한국어 전공 개설이 확정되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김지예 기자
2023-07-14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