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감 후] 제조업 부진의 그림자/김소라 경제부 기자

[마감 후] 제조업 부진의 그림자/김소라 경제부 기자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7-07 02:25
업데이트 2023-07-07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소라 경제부 기자
김소라 경제부 기자
수도권 신도시에는 기업이나 산업 하나로 먹고사는 곳이 적지 않다. 내가 사는 지역 또한 한 산업이 이 지역의 고용을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파트 주민들이 여럿 모여 출퇴근 ‘카풀’을 운영하고, 3교대 근무를 마친 직원들이 통근버스에서 내리며 후련한 얼굴로 기지개를 켠다. 다른 지역에서 전환 배치돼 이사 온 주민들은 굳이 사투리를 고치지 않아도 금세 기존 주민들과 어우러진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수출 부진의 그림자는 내가 사는 지역마저 뒤덮기 시작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 보릿고개, 중국의 기술 추격 같은 기사를 볼 때까지만 해도 남 이야기 같았다. 하지만 주민들이 모여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전환배치, 인력 감축, 무급휴직과 같은 암울한 말들이 심심치 않게 보이면서 그 기업에 다니는 가족이 없는 나마저 가슴이 철렁거렸다. “이 기업에서 15년을 일했지만 지금처럼 어려운 적이 없었던 것 같다”는 댓글을 읽으며 내가 동네에서 마주쳤던 이웃들의 얼굴이 겹쳐 보였다. 인력이 줄면서 기존 주민들이 집을 팔고 떠나 집값이 떨어지지 않겠느냐는 걱정마저 나왔다.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이 휘청이니 제조업이 지탱하던 지역의 경제마저 흔들리는 모습이다.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은 지난 4월(-1.0%)에 이어 5월(-0.9%)에도 전년 동월 대비 줄어들었다. 제조업의 부진이 두드러져 제조업 생산은 1분기에 10.0% 줄어든 데 이어 4월(-9.2%)과 5월(-7.5%)에도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에 자동차와 조선 산업의 호조에도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지연되고 반도체 업황이 부진하면서 제조업과 서비스 생산 모두 보합세를 보였다. 고물가·고금리에 얼어붙었던 소비심리가 조금씩 풀리고 있지만 제조업의 부진이 여전히 지역 경제를 억누르고 있다는 의미다.

제조업 부진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세계 최대 공장’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지수(PMI)는 3개월째 ‘위축’ 국면에 갇혀 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하는 미국의 6월 제조업 PMI와 유로존 20개국의 6월 함부르크 상업은행(HCOB) 제조업 PMI 모두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외신들은 제조업의 부진을 ‘경기 침체의 전조’라 해석하며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문제는 ‘엔데믹’ 이후로 분출하기 시작한 글로벌 소비가 다시 둔화되면 제조업이 위축되고, 이는 다시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소비 둔화의 신호는 이미 나타나고 있다. 세계 최대 소비국이기도 한 중국의 소매판매는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 가고 있지만 증가세는 꺾였다. 유로존 역시 서비스업 PMI가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올해 유로존 경제의 몇 안 되는 긍정적인 영역이었던 서비스 생산마저 급격하게 둔화했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우려를 낳았다.

글로벌 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와 제조업, 수출 부진의 ‘악순환’은 우리로서도 대응할 방법이 마땅치 않아 보인다. 부디 정부의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이 맞아떨어져 기업들의 수출이 회복되고 우리 이웃들의 얼굴에서 먹구름이 걷히기만을 바랄 뿐이다.
김소라 경제부 기자
2023-07-07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