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 가진 이 남자… ‘사우디 리스크’

다 가진 이 남자… ‘사우디 리스크’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3-07-07 02:09
업데이트 2023-07-07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함마드 빈 살만/벤 허버드 지음/박인식 옮김/메디치미디어/448쪽/2만 9000원

NYT 특파원이 파헤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관료 등 350명 구금 ‘리츠칼튼 거사’로
법적·경제적 모든 권한 쥔 절대 권력자 등극
여성 운전 허용 ‘개혁’ 뒤엔 살해·납치 행적

비밀스럽고 예측 불가능한 젊은 왕세자
‘제2의 중동붐’에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절대군주로서 ‘피’ 보는 데 주저 않을 것”


이미지 확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메디치미디어 제공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메디치미디어 제공
지난 5년여간 아라비아반도의 절대 권력자로 부상한 무함마드 빈 살만(38) 왕세자. 누군가의 아들을 의미하는 ‘빈’이 붙었으니, 이름을 풀면 ‘살만의 아들 무함마드’다. 살만 국왕의 열두 아들 중 여섯째로, 사람들은 그를 무함마드 왕세자로 부르며 보통은 ‘MBS’라는 영어 이니셜로 통칭한다.

흥청망청 돈을 써 세계의 ‘현금 자동인출기’로 통하는 사우디의 지난해 국가 예산은 한국의 절반 규모를 조금 웃도는 2787억 달러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 3585달러로, 한국의 3분의2 수준. 사우디는 지난해에 원유 수출로 2590억 달러 정도를 벌었다. 흔히 천문학적인 규모로 생각되는 사우디의 원유 수익은 실제로는 삼성전자의 한 해 매출액과 비슷하다.

사우디의 새로운 실력자를 제대로 알고 있는지, 그가 이끄는 ‘제2의 중동붐’을 과대 포장하는 건 아닌지 신간 ‘무함마드 빈 살만’을 통해 짚어 볼 만하다. 미국 뉴욕타임스의 베테랑 중동특파원이 쓴 이 책은 방대한 인터뷰와 자료 조사를 토대로 MBS를 생생하게 그려 낸 탐사 기록이다. 저자는 카리스마 넘치는 젊은 왕세자의 행적을 따라가며 질문한다. 그는 사우디를 개조할 개혁 군주인가, 잔혹한 폭군인가.

그의 야망은 왕위 계승자가 되고 4개월 후인 2017년 11월 4일 ‘리츠칼튼 거사’에서 표면으로 드러났다. 수도 리야드의 최고급 호텔인 리츠칼튼에 고위 왕자들과 억만장자, 관료 등 350명이 넘는 저명인사가 모여들었다. 그날 밤 사우디 정부는 살만 국왕이 출국 금지와 체포영장 발급, 계좌 동결 등 모든 법적 권한을 신설된 부패방지위원회에 부여했다고 발표했다. 이 위원회의 수장이 MBS였다.

권력자, 재력가들은 이곳에서 휴대전화조차 빼앗긴 채 최소 수개월간 객실에 구금됐다. 수천 명의 왕자와 공주, 그 아래 이들과 손잡은 사업가, 바닥에 각종 인허가 권한을 리베이트와 맞바꾼 관료로 이어지는 ‘부패 사다리’를 끊겠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하지만 이 거사를 치르며 MBS는 자신의 왕위 계승을 위협하는 정적을 제거하고 거액의 헌납금을 챙겼다. 그리고 모든 것을 손에 쥔 남자, ‘미스터 에브리싱’으로 다시 태어났다.

그는 개혁가로도 주목을 받았다. 극도로 보수적인 사우디 정부가 2018년 6월 여성의 자동차 운전을 허용한 건 MBS 개혁의 상징적 변화였다. 하지만 여성 인권 신장에 앞장서면서도 여성 인권 운동가들은 탄압한다.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나 레바논 총리 납치 등 폭력적인 행적을 보면 개혁과 난폭한 변화를 동시에 체감할 수 있다.
책은 2030년 완공을 목표로 MBS가 국운을 걸고 추진하는 사막 신도시 ‘네옴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비밀스럽고 예측 불가능한 그를 사우디의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지목한다.

세속적이고 풍요로운 사우디의 미래를 설파하지만 왕권을 향한 도전은 결코 용납하지 않는 절대군주의 모습이 이 젊은 왕세자의 민낯이다. MBS를 취재하며 신변에 위협을 받았던 저자는 말한다. MBS의 개혁은 ‘자신이 원하는 국가’를 만들기 위한 것이며, 그는 그것을 위해 ‘피’를 보는 데 결코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안동환 전문기자
2023-07-07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