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우 대통령, 中 정면 비판 “‘관광 중단’ 무기로 대만과 단교 협박”

팔라우 대통령, 中 정면 비판 “‘관광 중단’ 무기로 대만과 단교 협박”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6-28 17:22
업데이트 2023-06-28 1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수랭걸 휩스 팔라우 대통령. 바이두 캡처
수랭걸 휩스 팔라우 대통령. 바이두 캡처
대만 수교국인 태평양 도서국 팔라우의 수랭걸 휩스 대통령이 중국을 작심 비판했다. 베이징이 자국민의 팔라우 관광 중단을 앞세워 “대만과 단교한 뒤 중국과 수교하자”고 요구한다는 것이다.

28일 대만 자유시보에 따르면 휩스 대통령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과 단교하지 않으면 중국 관광객의 팔라우 방문을 중단하겠다’고 위협했다”고 밝혔다.

면적 459㎢의 소국 팔라우는 2020년 현재 전체 인구가 1만 8000여명에 불과하다. 2008년만 해도 중국 관광객은 634명에 불과했지만 2015년에는 9만 1000명으로 폭증했다. 이런 영향력을 바탕으로 중국은 2017년부터 팔라우에 수교 요청을 하고 있으며, 이에 응하지 않자 중국 관광객의 팔라우 방문이 급감했다고 휩스 대통령은 주장했다. 현지 부동산을 대거 사들였던 중국인들이 개발을 일시에 중단하고,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관광객도 급감해 현재 팔라우는 경제 위기를 겪고 있다.

휩스 대통령은 “우리는 세 가지 도전에 직면했다”며 “팔라우에 탄력적인 경제 체제를 구축해야 하고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처해야 한다. 중국의 영향력과도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여전히 팔라우의 최대 직접 투자국”이라면서도 “중국은 팔라우로의 직항편을 개설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여전히 중국인의 팔라우 관광을 통제하고 있다는 얘기다. 팔라우는 마셜제도와 벨리즈, 아이티 등과 함께 대만의 13개 수교국 가운데 하나다.

휩스 대통령은 팔라우의 공항 활주로가 짧은 편이라면서 현재 2100m에서 3000m로 확장하고자 미국과 호주, 대만, 일본, 한국 등에 도움을 요청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미중 양국의 갈등과 대립이 심화하면서 태평양 국가들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팔라우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차단하고자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휩스 대통령은 일본을 방문 중이던 지난 14일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미국에 팔라우 인근 해역의 순찰 강화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중국 선박이 팔라우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을 여러 차례 침범한 데 따른 조치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