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그림, ‘보물’ 된다

추사 그림, ‘보물’ 된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6-28 02:31
업데이트 2023-06-28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이선란도’ 문화재 지정 예고

이미지 확대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추사 김정희(1786~1856)의 마지막 난초 그림인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가 27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추사의 그림은 10대 때부터 묵란(난초를 소재로 하는 수묵화)을 즐겨 그렸던 그가 난초를 서예의 필법으로 그려야 한다는 이론을 실천적으로 보여 준 작품이다. 이 작품은 달준이라는 인물에게 그려 준 것으로 화면 가운데 난초를 옅은 담묵으로 그리고 주변 네 군데에 높은 수준의 격조가 담긴 제발(그림의 제작 배경이나 감상평 등을 기록한 것)을 썼다.

19세기 문화사를 상징하는 추사의 학문과 예술 세계를 종합적으로 대변하는 작품으로 예술적·학술적 가치가 있다. 인장을 통해 전승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1736년 제작된 불화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1634년 청동 300근을 들여 만든 ‘파주 보광사 동종’, 원나라 고승인 몽산 덕이(1231~1308)의 가르침을 담은 불서를 1361년 번각한 ‘불조삼경’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신라 시대 방어 체계의 한 축을 담당한 군사 요충지로 여겨지는 ‘대구 팔거산성’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됐다.

류재민 기자
2023-06-2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