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여성의 강력한 힘, 아기 낳지 않는 것” 신문 전면광고 반응 ‘극과 극’ [넷만세]

“여성의 강력한 힘, 아기 낳지 않는 것” 신문 전면광고 반응 ‘극과 극’ [넷만세]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6-19 08:07
업데이트 2023-11-02 14: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주한국일보 전면광고에 온라인 ‘시끌’
여초 카페 등선 “비출산은 큰 혁명” 환호
남초 커뮤선 “1인 여성 지원 없애야” 반발
“미국 내 낙태권 관련 광고인 듯” 추측도


이미지 확대
지난 14일자 미주한국일보 5면에 실린 전면광고에 등장한 ‘여성의 가장 강력한 힘은 아기를 낳지 않는 것입니다’라는 글귀가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극과 극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화제가 됐다. 트위터 캡처
지난 14일자 미주한국일보 5면에 실린 전면광고에 등장한 ‘여성의 가장 강력한 힘은 아기를 낳지 않는 것입니다’라는 글귀가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극과 극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화제가 됐다. 트위터 캡처
“여성의 가장 강력한 힘은 아기를 낳지 않는 것입니다.”

최근 한 신문 지면 전면광고에 등장한 이 한 줄의 문장은 온라인상에서 극과 극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화제가 됐다. 갈수록 악화하는 출산율 저하가 우리 사회 최대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여성의 ‘자기 선택권’과 ‘국가 소멸론’을 둘러싼 네티즌들의 시각차가 극명하다.

지난 17일 미국에서 유학하고 있다는 한 트위터 이용자는 14일자 미주한국일보 5면에 실린 전면광고를 찍어 공유했다.

해당 광고에는 그림 없이 신문 한 면의 절반을 채우는 크기로 위 글귀가 있었고, 그 아래는 ‘The most powerful force of a woman is not giving birth’라며 같은 내용이 영어로 쓰여 있었다. 맨 아래에는 광고 주체로 보이는 방성삼(Sung Sam Bang)이라는 이름 석 자가 적혀 있었다.

광고 하단에는 작은 글씨로 ‘이것은 유료광고입니다. 이 광고의 내용은 본사에서는 인정하지도 부정하지도 않는 유료광고임을 알려드립니다’라는 신문사 측 안내 문구가 있었다.

이 광고를 공유한 트위터 이용자는 “이 기개가 너무 멋있다.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었길래 이런 생각을 해서 실행까지 옮기게 된 건지 너무 궁금하다”라며 자신의 소감을 덧붙였다.

이 광고는 이후 국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로 퍼지며 각양각색의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다음의 대표 여초 카페 ‘여성시대’에서는 500개 가까운 환호의 댓글이 쏟아졌다.

이미지 확대
임신부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임신부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평소 비연애·비혼·비출산 등에 우호적인 분위기인 여성시대의 이용자들은 “나는 밖에서 눈치 보여서 저런 말 못 하는데 개인이 저런 광고하는 거 너무 멋지다”, “요즘 본 말 중에 제일 멋있는 말이어서 감격스럽고 힘이 난다. 갑자기 살만한 세상이 됨”, “여자의 출산은 여자 혼자 하는 고유한 능력인데도 사회 공공의 것, 남자의 것으로 여태 생각돼 왔다. 비출산이 진짜 큰 혁명이자 선택이다” 등 환영하는 반응을 보였다.

또 다른 여초 카페 ‘우리 동네 목욕탕’에서도 “여성의 재생산 능력이 권력이 아닌 약점으로 작용한 지 수천년 만에 드디어 출생을 선택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나는 아기를 선택하는 게 가장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그 성별(남자)은 안 낳는 거다. 여자가 같은 여자를 낙태하게 만들었던 사회가 말이 안 된다” 등 댓글이 이어졌다.

반면 여러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이 광고에 대한 반발과 비난이 쇄도했다.

관련 글에 1000개 넘는 댓글이 달린 ‘에펨코리아’(펨코)에서는 “낳지 마라. 1인 여성 지원 같은 소리 말고”, “남편도 없고 애도 없으면 나라에서 자꾸 지원해주잖아. 강력한 힘 맞다” 등 1인 여성 가구 지원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댓글들이 가장 많은 공감을 얻었다.

펨코에서는 이밖에도 “임신과 출산은 여성에게 저주와 같다면서도 대리모와 인공자궁 기술 등을 (일부 여성들이)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가 있다. 저주라지만 여성만이 할 수 있는 특권이기도 하니까. ‘애 낳아주잖아’라는 페미니즘 시위의 출산 거부 팻말도 마찬가지”, “대를 보존하고 잇는 역할을 거부한다면 그간 받아온 혜택도 내려놔야지. 일단 군대부터 가시라”, “오히려 반대 아닌가. 여성은 아이를 가짐으로써 권력이 생기는데” 등 댓글이 이어졌다.

이미지 확대
경기 수원시 한 여성병원 신생아실의 요람이 비어 있다. 2023.3.3 홍윤기 기자
경기 수원시 한 여성병원 신생아실의 요람이 비어 있다. 2023.3.3 홍윤기 기자
‘개드립넷’의 한 이용자는 “미주한국일보 광고인 걸 보면 현재 미국 내 뜨거운 감자인 낙태권에 대한 광고일 것”이라는 추측을 하기도 했다.

이 이용자는 그러면서도 “‘낳아주지 않는다’는 문구에 환호하는 페미니스트들이 있는 것 같은데 저출산을 먼저 겪은 유럽·미국은 대거 이민자를 받았다. 이민자를 대거 수용하면 일자리, 치안 측면에서 부작용이 생기는데 이 부작용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미혼 여성”이라고 지적했다.

‘인스티즈’에서는 “우리 윗세대들은 정부에 방향성을 요구하면서 능동적으로 원하는 바를 얻었는데 ‘아무것도 안 하기’가 가장 강력한 힘이냐?”는 댓글과 “국가가 그 전에 여성 고용 안정성 높이고 육아와 일의 공존을 위한 대책을 세웠어야 한다”는 댓글 등이 맞서며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지난달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1∼3월 0.81명을 기록했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역대 가장 적은 수준으로, 기존 최저치인 지난해 1분기(0.87명) 보다도 0.06명 적다.

합계출산율은 2019년 1분기 1.02명을 기록한 이후 16개 분기 연속 1명을 밑돌고 있다.

[넷만세] 네티즌이 만드는 세상 ‘넷만세’. 각종 이슈와 관련한 네티즌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습니다.
이미지 확대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