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교부, ‘상호존중’ 요구 韓에 “중한문제 깊이 인식하고 엄숙히 다뤄야”

中 외교부, ‘상호존중’ 요구 韓에 “중한문제 깊이 인식하고 엄숙히 다뤄야”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5-23 20:21
업데이트 2023-05-23 2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23일 베이징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기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중국 외교부 제공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23일 베이징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기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중국 외교부 제공
중국이 한국을 향해 중한관계 문제점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금의 양국 갈등 고조의 근본 원인이 한국에 있다는 판단이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전날 서울에서 열린 한중 외교부 국장 간 협의를 두고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국장)이 중국의 핵심 우려에 대해 엄정한 입장을 표명하고 다른 사안에 대해서도 한국과 의견을 교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핵심 우려에 대한 엄정한 입장’은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힘에 의한 대만해협 현상변경 반대’ 발언과 지난 21일 일본 히로시마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나온 ‘3국 안보 공조 강화’ 등에 대한 항의 내지 문제 제기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오 대변인은 “나는 관련 매체의 논평과 보도에 주목한다”며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한국 측이 현 중한 관계 문제점이 어디에 있는지 깊이 인식하고 엄숙하고 진지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한중관계에 흐르는 냉각 기류가 한국의 지나친 미국·일본 밀착 때문에 생겨났다는 시각이다.

전날 최용준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류진쑹 사장은 오찬을 포함해 약 4시간 동안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우리 외교부는 중국 측에 ‘상호존중’을 요구한 반면, 중국은 대만해협 이슈 등을 꺼낸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서로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에서 대화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재호 주중대사는 지난해 8월 취임식에서 “상호존중은 한중 수교 공동성명에 기재된 핵심 원칙”이라며 “양국이 서로의 안보주권과 민생, 정체성을 존중하는 관계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는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3불 합의’(사드 추가 포기, 미국 미사일방어체계·한미일 군사동맹 불참)를 지키라는 베이징의 요구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답변으로 이해됐다. 쉽게 말해서 ‘상호존중 원칙에 의거해 우리의 안보주권에 간섭하려 하지 말라’는 것이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