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자금 이탈 가속화에 예·적금 금리 올려

저축은행, 자금 이탈 가속화에 예·적금 금리 올려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05-20 07:32
업데이트 2023-05-20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신잔액 3개월 간 5조원 줄어
정기예금 3.95%…금리 반등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저축은행 간판. 2023.5.1. 연합뉴스.
서울의 한 저축은행 간판. 2023.5.1. 연합뉴스.
저축은행들이 최근 들어 예·적금 금리를 속속 올리고 있다. 보다 높은 금리를 쫓아 자금 이탈 규모가 커지자 금리를 올려 고객 끌어들이기에 나선 것이다.

1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국내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3.95%로 집계됐다. 앞서 매월 1일 기준 정기예금 평균 금리를 살펴보면 지난 1월 5.37% → 2월 4.62% → 3월 3.79% → 4월 3.77%로 하락하다 5월에는 3.87%로 반등했다. 특히 이달 들어 예금 금리 상승 이러한 추세가 가속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매월 1일 기준 12개월 정기적금 금리 역시 지난 1월 3.69%에서 2월 3.72%로 올랐다가 3월 3.51% → 4월 3.45%로 하락하더니 5월에는 3.49%로 소폭 올랐다. 이어 지난 19일에는 3.51%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예금 금리를 계속 하향 조정하는 시중은행과는 대조되는 행보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시중은행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39개 가운데 기본금리가 2%대 예금상품은 6개에 달했다. 지난달 평균 금리 2%대 상품은 2개에 불과했지만 이보다 늘었다.

그럼에도 저축은행이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시중 은행 대비 금리 만족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탓에 자금 이탈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7%대 고금리를 제공하며 고객 유치 경쟁을 벌였던 저축은행들은 올해에는 시중은행과 별 차이 없는 금리를 유지해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의 전체 수신 잔액(말잔 기준)은 2021년 4월부터 줄곧 증가세를 보이다 2022년 11월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나타낸중이다. 지난 1월 120조 7854억원에서 2월 118조 9529억원, 3월 116조 431억원으로 3개월 새 4조 7423억원이 감소했다.
김성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