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왜 제야의 종은 33번 치는가....새 보신각종[사진창고]

왜 제야의 종은 33번 치는가....새 보신각종[사진창고]

정연호 기자
정연호 기자
입력 2023-05-19 19:58
업데이트 2023-07-27 1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창고’는 119년 역사의 서울신문 DB사진들을 꺼내어 현재의 시대상과 견주어보는 멀티미디어부 데스크의 연재물입니다.
이미지 확대
사진창고
사진창고
이미지 확대
85년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제작자들이 최종점검하고 있다. 1985 서울신문 사진창고
85년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제작자들이 최종점검하고 있다. 1985 서울신문 사진창고
서울신문 사진창고에서 새 보신각종 제작모습과 종을 보신각에 거는 행사모습이 담긴 1985년의 사진을 찾았다. 이 사진을 보며 왜 제야의 종은 33번은 치는지가 궁금해 보신각과 보신각종에 대한 역사에 대해 알아봤다.

태조 7년인 1398년 한양 도성의 중심이 되는 곳에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리기 위한 종을 달기 위한 누각종루가 완성됐다. 이 종루와 가가운 거리를 ‘종로(鐘路)’라 부르게 됐고 근대에 들어서며 노면전차가 부설되고 거리는 더욱 번화하면서 서울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됐다. 임진왜란과 화재로 종루가 소실되고 대종이 파괴되는 일을 겪으며 종루의 위치와 규모가 바뀌었다. 고종은 1895년 새로 건설된 종루에 ‘보신각’이라는 현판이 걸면서 우여곡절이 많았던 이 종은 ‘보신각종’이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85년 새롭게 제작 될 보신각종 형틀에 주물을 붓고 있다. 이 보신각종은 국민들의 성금으로 제작됐다.  1985 서울신문 사진창고
85년 새롭게 제작 될 보신각종 형틀에 주물을 붓고 있다. 이 보신각종은 국민들의 성금으로 제작됐다. 1985 서울신문 사진창고
매년 12월 31일이면 보신각에서는 33번을 종을 치며 신년을 맞이하는 제야의 종 행사가 열린다. 33번을 치는 것은 야행(夜行)을 금지하면서 성문을 닫는 시간인 저녁 10시에는 인정(人定)이라 하여 28번, 야행 통금(通禁)이 풀리면서 성문을 여는 시간인 새벽 4시에 파루(罷漏)라 하여 33번의 종을 치던 것으로부터 유래됐다.
이미지 확대
85년 8월 13일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보신각에 달기 위해 종을 이동시키고 있다.  1985. 8. 13 서울신문 사진창고
85년 8월 13일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보신각에 달기 위해 종을 이동시키고 있다. 1985. 8. 13 서울신문 사진창고
원래 걸려 있던 보신각종은 조선 세조 14년인 1468년 현재 탑골공원인 원각사에 걸기 위해 만들었다가 절이 없어진 후 1619년 보신각으로 달게됐다. 보물 2호로 지정된 보신각종은 몸통에 금이 가면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보관 중이다. 1985년 국민들의 성금으로 만들어진 새 보신각종이 현재 보신각에 걸려 있는 종이다. 당시 서울신문은 이 국민성금 모금운동의 집행기관이었다.
이미지 확대
85년 8월 13일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보신각에 다는 행사를 갖고 있다. 1985. 8. 13 서울신문 사진창고
85년 8월 13일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보신각에 다는 행사를 갖고 있다. 1985. 8. 13 서울신문 사진창고
이미지 확대
85년 8월 13일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보신각에 다는 행사를 갖고 있다. 1985. 8. 13 서울신문 사진창고
85년 8월 13일 국민의 성금으로 새롭게 제작된 보신각종을 보신각에 다는 행사를 갖고 있다. 1985. 8. 13 서울신문 사진창고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