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농업에 이은 어업 대전환 시도

경북도, 농업에 이은 어업 대전환 시도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3-04-03 10:26
업데이트 2023-04-03 1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32년까지 10년간 동해안 자원회복
어업인 소득 증대 위해 고부가 품종 등 개발

이미지 확대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감도.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감도. 경북도 제공


청정 동해를 접한 경북도가 수산자원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어업대전환을 추진한다.

도는 어업 대전환을 위한 ‘수산 자원 연구개발 10개년 종합계획(2023∼2032년)’을 마련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종합 계획은 자체 테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해양수산과 정책 분야 산학 전문가들이 두 차례 검토해 수립했다.

종합 계획의 주요 전략은 다섯 가지로 구성했다.

우선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살오징어, 전복, 해삼, 문치가자미, 참가자미 등 고부가 경제성 품종을 개발하고 대량 방류할 계획이다.

또 멸종위기종을 보존하고 내수면 자원을 조성해 내수면 어업을 활성화하고 청년 인재 유입을 도모하기로 했다.

수산 식품 개발, 수산물 요리 경연 대회 개최 등을 통해 창업과 기술 이전도 추진된다.

지속 이용할 수 있는 수산 자원 조성을 위해 아쿠아포닉스 등 양어 수경 재배와 미세조류 시험 연구 등 친환경 응용 기술 개발도 꼽혔다.

양식 산업화를 위해 스마트 순환 여과 양식 시스템(RAS) 육성 기술 개발, 사육관리 매뉴얼 발간 등 양어 기술 보급도 주요 전략으로 강조됐다.

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도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1차 수산자원 연구개발 종합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독도새우류 및 볼락류 인공종자 생산, 미꾸리 논 생태양식 및 관상어 기술개발 등의 성과를 거뒀다”면서 “이번 종합 계획으로 동해안 친환경 수산자원의 고급 브랜드화와 내수면 어업의 산업화를 이끌어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청년인재 유입 등 경제적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해 1월 기존 농업에 4차 산업기술을 반영, 농업경쟁력을 강화하고 농촌은 주거의 공간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으로 만드는 등의 내용을 담은 ‘농업 대전환’을 선언한 바 있다.
안동 김상화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