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후연구원 39% 산업계 진출…키우리(KIURI) 1차 사업 가시적 성과 이뤄

박사후연구원 39% 산업계 진출…키우리(KIURI) 1차 사업 가시적 성과 이뤄

입력 2023-03-28 09:47
업데이트 2023-03-28 09: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혁신성장 선도 고급연구인재 성장 지원(KIURI, 키우리) 사업’ 1차 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KIURI 사업은 연구 역량을 갖춘 이공계 박사후연구원의 산업계(기업) 진출 역량 강화 및 진출 확대를 위해 지난 2020년 5월부터 추진되고 있다. 서울대, 연세대, 포항공과대, 성균관대, 아주대, 인하대 등 6개 연구단이 선정돼 운영되고 있으며 오는 2024년 10월까지 1차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 3년간 KIURI 시범사업에 참여한 박사후연구원 중 전체 취업은 82명으로, 이 중 39%(32명)가 산업계로 진출해 산업계 경력 경로 개발의 효과를 확인했다. 이에 시범사업 참여연구자는 “KIURI 사업을 통해 산학공동연구를 경험하면서 기업친화적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사업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공계 신진 박사급 연구인재의 독립적 연구자 성장을 돕고 산업계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산학협력연구와 교육∙네트워크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박사후연구원과 수요기업 간 산학협력연구 활성화를 위해 산학 공동 연구체계를 구축하고 직접 연구비 지원과 멘토링 및 수요 기업 매칭, 연구몰입환경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박사후연구원의 산업계 역량 강화 및 진출 확대를 위해 인식개선과 역량 강화 교육을 지원하고 각 연구단을 연계한 공통 네트워크와 특화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있다.

키우리 사업 관계자는 “KIURI 사업은 높은 학계 지향성을 가진 박사후연구원의 산업계 진출 인식을 개선하고 산업계 경력 경로를 개발해 산업계 진출을 촉진하여 고용 안정성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의 우수 연구인력 확보를 도와 국내 산업의 인적 경쟁력도 강화할 수 있다”며 “현재 진행 중인 1차 사업에서 박사후연구원의 산업계 경력 경로 개발 효과를 확인한 만큼, 남은 사업 기간에도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IURI 1차 사업의 가시적인 성과에 따라 시범사업 종료 후 사업의 계속 운영을 위한 2차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온라인뉴스팀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