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근로시간, 보상 불안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 강구해야”

尹“근로시간, 보상 불안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 강구해야”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3-03-20 18:13
업데이트 2023-03-20 18: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일관계 개선, 각 부처 후속조치 만전을”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주 최대 69시간’으로 논란이 된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과 관련해 “임금 및 휴가 등 보상체계에 대한 불안이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같이 지시했다고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이 전했다. 앞서 고용부가 입법예고한 근로시간 유연화 법안에 대해 “특히 MZ세대의 의견을 면밀히 청취하라”고 지시한데 이어 다시한번 관련 언급을 한 것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16일 안상훈 사회수석이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은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밝힌 데 이어 이날 또다시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의 취지를 설명하고 나섰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취재진과 만나 “실제 주 52시간을 초과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1.4%밖에 안 된다. 해당하는 근로자는 20만명 이하다. (우리 정부가) 바꾸고자 하는 제도로 가더라도 급격하게 장시간 근로를 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분기로 계산하면 기존보다 10% 줄이고 반기로 정산하면 20% 줄이겠다는 것이다. 근로시간을 늘이겠다는 것이 아니라 세계적 추세에 맞춰 줄여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연단위로 보면 근로시간이 30% 줄어든다. 주평균 48.5시간이 된다”고 부연했다.

고위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주 60시간 이상 무리’ 발언이 근로시간 개편 논의의 상한을 제시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 “그렇게 일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개인적 생각에서 말씀한 것이지 (근로시간 개편) 논의의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한 의도는 아니었다”며 “의견을 수렴해서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 나올 수도 있고, 캡(상한)을 씌우는 게 적절하지 않다면 윤 대통령도 굳이 고집할 이유는 없다.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의미로 했던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번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한일관계 개선 및 협력에 관해 국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각 부처는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를 포함해 대외 금융 불안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리스크가 감지되는 경우 즉시 필요한 조치를 실행하라”고 지시했다고 이 대변인이 전했다.
안석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