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SBS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환경호르몬이 성조숙증에 미치는 영향 조명

SBS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환경호르몬이 성조숙증에 미치는 영향 조명

입력 2023-03-20 14:56
업데이트 2023-03-20 14: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 19일 방영된 SBS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여성, 엄마, 우리의 아이들’ 편 자료화면
지난 19일 방영된 SBS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여성, 엄마, 우리의 아이들’ 편 자료화면
지난 19일 일요일 오전 7시 40분 방영된 SBS ‘일요특선 다큐멘터리’에서는 환경호르몬이 성조숙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여성, 엄마, 우리의 아이들’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된 다큐멘터리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통해 환경호르몬과 성조숙증, 그리고 여성의 건강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조명했다.

방송에서는 성조숙증을 경험하고 있는 사례자 가족과 다양한 검사를 진행하며 환경호르몬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했으며 여성건강을 위해 환경호르몬을 줄이는 국내외 이야기도 담아냈다.

지난 2021년 성조숙증으로 진료받은 환아의 수는 16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인 2011년 기준 5만 명을 넘지 않았던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성조숙증은 여자 8세, 남자 9세 이전에 이차성징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여아에게 훨씬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성조숙증이 나타나면 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져 초경이 빨라지고 성장판이 빠르게 닫혀 최종적으로 본래 성장 키보다 10cm 이상 작아질 가능성이 있는 ‘성장 장애’를 초래한다. 또한, 성조숙증을 앓는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 난임과 불임, 각종 성인병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다.

10년 전보다 성조숙증이 급증한 큰 이유는 부모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성조숙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이들이 늘어남에 따라 그동안 방치되다시피 했던 성조숙증의 예방과 치료가 이전보다 넓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현대 사회가 외형을 중요시하는 만큼 ‘성장 장애’가 더욱더 큰 문제로 꼽히는 것도 이유로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환경호르몬’이다. 성균관대 약학대학 김형식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환경호르몬은 성조숙증을 비롯해 난임과 불임, 나아가 여성의 건강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 교수는 “쥐 실험을 통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환경호르몬이 자궁 내막증과 같은 부인과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여성은 초경을 시작할 때부터 폐경을 맞을 때까지 생리대와 같은 일회용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생리대환경호르몬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일본이나 미국 등에서는 여성용품에 주목해 끊임없이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리대발암물질 파동으로 한 차례 파동이 일었다.

생리대유해물질 파동 이후 소비자의 일회용품 선택 기준이 ‘착용감’에서 ‘커버’·‘흡수체’ 등 성분 안정성으로 이동했으며 이로 인해 입는 생리대를 비롯해 빨아 쓰는 면생리대, 위생팬티, 입는 오버나이트 같은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생리팬티는 시중의 일회용품 사용 시 발생하던 가려움 감소나 생리통 완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년간 사용하는 일회용품의 양을 대폭 줄여 환경보호 차원에서도 긍정적이다. 이에 이미 일본에서는 생리대발암물질리스트에 대한 불안감과 불만으로 입는 생리팬티나 팬티형생리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더마테스트를 통과한 ‘단색 컴포트에어’ 등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지난 19일 방영된 SBS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여성, 엄마, 우리의 아이들’ 편은 SBS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온라인뉴스팀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